해양 유류오염 감식기술 개발
화학뉴스 2012.07.10
국내 연구진이 해양 유류오염 감식기술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류유해물질연구단(연구책임자 심원준)의 <해양 유류오염 감식기술 개발> 논문이 미국에서 발행되는 환경과학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고 국토해양부가 7월10일 발표했다. ![]() 논문은 2007년 12월 충남 태안 해상에서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Hebei Spirit) 호 사고를 표본으로 삼아 유출된 기름에 의한 해양오염 여부를 정밀하게 감식해내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국토부 해양환경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2009년부터 3년여 동안 연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감식기술은 사고현장에서 유류오염 수준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기술 및 개별 화합물의 탄소 동위원소를 분석해 동질성 여부를 입증하는 기술, 시간에 따른 유류의 성분 변화를 추적하는 초고분해능 질량 분석기술을 망라하고 있다. 특히, 현장형광분석기술을 이용한 해안 유류오염의 모니터링은 국제적으로 처음 시도됐고,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술 역시 세계 최초로 유출유 분석에 적용됐다. <화학저널 2012/07/1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폴리머] PHB, 생분해 해양 미생물 확대 | 2025-07-30 | ||
[플래스틱] 플래스틱, 해양 생분해성 개발한다! | 2025-03-24 | ||
[바이오폴리머] 플래스틱, 해양 미생물 활용 본격화 | 2025-01-06 | ||
[플래스틱] 플래스틱, 해양쓰레기 CR 상용화 | 2024-09-02 | ||
[바이오폴리머] PBS, 해양 생분해성 대폭 강화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