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부문 온실가스 1192만톤 감축
국토부, 3자물류 활성화에 철도수송 확대 … 관리기반ㆍ역량 강화 지원
화학뉴스 2012.07.10
2020년까지 물류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192만톤 감축하는 프로젝트가 실행된다.
국토해양부는 <2020 물류분야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2012-2020)>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7월10일 발표했다. 국내 물류산업은 선진국과 달리 3자물류의 활용률이 낮고, 도로화물 수송비율이 높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편으로 지입, 다단계 주선이 횡행해 온실가스 관리 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토부는 당초 지속가능 교통물류발전 기본계획(2011-2020)을 통해 물류부문에서 864만톤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했으나 328만톤을 추가 감축하기로 결정했다. 국토부는 3자물류와 공동물류 활성화에 따른 적재율 향상, 화물자동차 대형화 등 물류 효율화, 녹색물류 전환사업 추진으로 추가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선 현재 56%에 불과한 3자물류 활용률을 2020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70%로 끌어올리고 고층건물, 재래시장, 산업단지의 공동물류를 촉진해 물류 효율성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또 현재 71%를 차지하고 있는 도로수송 비중을 줄이고 철도수송의 분담률을 현재 8.1%에서 2020년 18.5%까지 높일 계획이다. 운송기업의 자발적 온실가스 관리기반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운송기업별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ㆍ관리할 수 있도록 물류에너지 관리시스템과 에너지 사용량 계측 통합단말기를 보급하고, 녹색물류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컨설팅 전문가를 육성한다. 아울러 에너지 효율이 낮은 노후 화물차를 친환경 자동차, CNG엔진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물류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확대한다. 이밖에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우수기업에 대한 녹색물류기업 인증제를 강화하고, 국토부와의 협약을 통해 온실가스를 자발적으로 감축하는 <물류에너지 목표관리제> 참여기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등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힘을 쏟을 방침이다. <화학저널 2012/07/1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정유, 온실가스 감축 노력 “미미” | 2025-08-20 | ||
[환경화학] 서부발전, 수소 활용 온실가스 감축 | 2025-05-30 | ||
[환경] 코오롱‧효성, 온실가스 감축 속도 | 2025-01-21 | ||
[바이오연료] 에탄올, 온실가스를 원료로 생산 | 2025-01-15 | ||
[환경] 석유화학, 온실가스 감축 미흡하다!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