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국내시장 급성장 가능성
정부, 산업용 및 가정용 보급 활성화 … 투자세액 공제도 추진
화학뉴스 2012.07.30
잉여전력을 저장해 수요가 몰리는 시간(피크)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저장장치(ESS) 시장이 활성화된다.
정부는 7월27일 중앙청사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에너지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우선 2013년부터 10-200㎾급 상업용 ESS를 공급하고, 2015년부터는 300㎾급 이상의 상업 및 산업용을 보급하며, 2016년부터는 10㎾급 가정용 ESS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기존건물은 ESS 설치를 권고하고, 신축건물은 시범사업 추진 후 시행성과를 보아가면서 설치 의무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청사 등 공공부문 수요처와 교통신호등ㆍ터널 등에 ESS를 우선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민간부문에서는 전력 피크의 요인이 되는 상가 등을 중심으로 보급을 촉진할 계획이다. 상업용 건물과 무선통신 기지국 등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시설에 보조금ㆍ융자ㆍ세제를 지원함으로써 ESS 설치를 유도하고, 전력을 1000㎾ 이상 사용하는 신축건물에는 2015년부터 ESS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2013년부터 ESS를 에너지절약시설 융자사업 지원대상에 포함시키는 등 금융 측면의 지원을 강화하고, ESS를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세액 공제 대상으로 추가한다. 설치비용의 10%를 소득세나 법인세에서 공제해 ESS 설치를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ESS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고압전력 소비자를 대상으로 <계시별 요금제> 적용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전력 예측 수요에 따라 계절별로 24시간을 3개 또는 4개 시간대로 나눠 요금을 차등화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는 300㎾ 이상 소비자만 계시별 요금제를 적용받고 있지만 앞으로는 100㎾ 이상 고압 소비자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ESS의 신성장동력화도 지원한다. 정부는 ESS 관련 인력 수급현황을 조사해 11월에는 중장기 인력양성 로드맵을 확정하고 10년 이내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핵심 연구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 매년 300억원 상당의 ESS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대학과 연구소가 가격, 수명, 저장용량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관련기업들도 2020년까지 시설투자에 13조원, 연구개발에 7조원을 투입해 중대형 ESS 기술 개발 및 설비투자에 나서도록 할 방침이다.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절감을 위해 신축 건축물의 설계기준도 강화한다. 정부는 건축허가 때 제출이 의무화된 에너지절약계획서를 2013년부터 연면적 500㎡ 이상(현재는 2000㎡ 이상)으로 강화하고, 친환경ㆍ에너지효율 등급 인증 취득도 대형 건축물부터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기로 했다. <화학저널 2012/07/3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K-배터리, ESS로 역전 노린다! | 2025-09-23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배터리] 배터리, 정부 ESS 사업 “재격돌” | 2025-09-22 | ||
[배터리] DS단석, ESS 사업화 속도 | 2025-09-16 | ||
[배터리] 삼성SDI, ESS에 LFP 배터리 탑재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