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 최악의 위기상황 탈출…
타이 39만톤 가동으로 수급밸런스 붕괴 … 수익개선 요원
화학뉴스 2012.08.29
아시아 PO(Propylene Oxide) 시장이 최악의 상황에서 벗어나고 있다.
2012년 6월 중순경 수요가 가장 많은 중국에서 원료 프로필렌(Propylene)과의 가격 차이가 과거 최저치인 톤당 160달러까지 떨어졌으나 최근 260달러까지 회복됐기 때문이다. 아시아 생산능력을 대폭 증설한 2011년 가을 이후 가격이 크게 떨어졌으나 중국기업들이 내수 공급을 확대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해 시황이 회복된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은 사우디, 타이, 싱가폴산 수입제품으로 내수를 충당하며 아시아 시장 확대를 견인해 왔으나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PO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특히, Dow Chemical과 SCG(Siam Cement Group)가 합작으로 2011년 가을 타이 소재 PO 39만톤 플랜트를 가동함으로써 아시아의 수급밸런스가 크게 완화됐고, 중국에서는 톤당 1000달러에 육박했던 스프레드가 200달러 아래로 좁혀지는 사태로 발전했다. 그러나 2012년 6월 이후 아시아 PO 생산기업들이 가동률을 낮춘 이후 수급밸런스가 개선되고 있고 스프레드도 260달러를 회복했다. PO는 PPG(Polypropylene Glycol)와 합성해 침구 등에 쓰이는 연질 우레탄폼(Urethane Foam)의 원료로 사용되며, PG(Propylene Glycol)로 제조한 후 UPR(Unsaturated Polyester Resin)을 생산해 단추 같은 의류의 장식품에도 투입되고 있다. 따라서 PO는 유럽 및 미국에 대한 최종제품 수출에 영향을 받고 있다. 일본도 풍력발전 투자가 축소되면서 풍차의 날개 생산에 투입되는 UPR 수요가 정체되고 있으며, 최악의 상황을 벗어났으나 본격적인 회복에는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신원 기자> <화학저널 2012/08/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OM, 의료용 중심 고부가화한다! | 2025-10-01 | ||
[에너지정책] 코오롱I, 동박적층판용 mPPO 공급 | 2025-06-27 | ||
[EP/컴파운딩] POE, 기회와 위기의 경계에서… | 2025-06-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코오롱, POM 중국 수출 기대한다! | 2025-08-22 | ||
[EP/컴파운딩] POE, 중국 생산능력 400만톤 공급과잉 심화 우려된다!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