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미국 배터리 공장 휴업상태
전기자동차 시장 정체로 가동연기 … 대통령선거 정치쟁점화로 곤혹
화학뉴스 2012.10.22
LG화학은 10월22일 미국 미시간의 홀랜드(Holland)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이 가동중단했다는 현지 언론의 보도에 대해 “가동한 적이 없기 때문에 가동중단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다”고 해명했다.
LG화학은 “현재 미국 홀랜드 공장은 200여명의 직원이 정상 근무시간의 75%만 일하는 조업 단축에 들어간 상태”라며 “전기자동차 시장 상황에 따라 가동을 연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일부 외신은 직원들이 비디오 게임이나 카드놀이를 하는 것으로 보도하고 있으나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직원들이 현재 설비점검, 운영교육 등 가동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은 “홀랜드 공장은 여전히 LG화학 전기자동차 배터리 사업의 가장 중요한 생산거점 중 하나”라며 “전기자동차 수요가 회복되면 본격 가동될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미국 대선에 따른 정치적 공방 때문에 홀랜드 공장과 관련해 <다소 과장된> 외신 보도들이 나오고 있어 정확한 사실을 알리기 위해 해명자료를 냈다고 덧붙였다. 미국 현지 언론들은 10월20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고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미국 대통령이 기공식까지 참석했던 홀랜드 LG화학 공장이 사실상 가동을 중단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난데없이 유탄을 맞은 LG화학은 행여 사태가 확대되지 않을까 바짝 긴장하고 있다. LG화학은 미국 언론의 보도가 정확한 사실을 기반으로 했다기보다는 일자리 문제를 자국 산업 보호주의 또는 애국심과 연계해 정치쟁점화하려는 특정 후보의 전략이 표면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LG화학은 2010년 7월 홀랜드에 전기자동차 배터리 생산공장 건설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가동시기를 2012년 6-7월께로 잡았으나 유럽의 재정위기 영향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로 전기자동차 시장이 예상만큼 성장하지 못해 양산시기를 계속 미룬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 언론의 보도만 보면 마치 LG화학의 잘못으로 공장이 가동되지 않는 것처럼 판단되는데, 사실은 글로벌 수급 상황에 따른 전략적인 생산 연기”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 시장이 좀처럼 성장세를 타지 못하면서 미국 대선을 앞두고 비슷한 논쟁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어 고민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2020년 전기자동차 도입이 본격화되면 배터리 시장규모가 1000억달러(약 112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세계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장밋빛 전망에 그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최대 수요처인 유럽시장이 재정위기로 불황에 빠져 부정적 전망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시장상황이 언제 좋아질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상태”라며 “정치적 논쟁에 휩쓸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전기자동차 수요가 회복돼 공장이 정상 가동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학저널 2012/10/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LG화학, LG엔솔 지분 2조원 매각 | 2025-10-02 | ||
[에너지정책] LG화학, 유럽 플래스틱 공세 강화 | 2025-10-01 | ||
[에너지정책] LG화학, AI 반도체 공략 “본격화” | 2025-09-29 | ||
[안전/사고] LG화학, 인디아 가스 누출 “고소” | 2025-09-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E, 유럽이 미국산 관세 철폐했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