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월23일 불산가스 누출사고 부근의 농작물 재배에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다.
현지정부종합대책단은 10월23일 사고대책본부가 있는 구미코에서 브리핑을 열어 사고지역의 토양과 농업용수에서 측정한 불소농도가 토양오염 우려기준(400㎎/㎏)과 먹는 물 수질기준(1.5㎎/리터) 미만이기 때문에 경작에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다.
사고지역 토양의 불소농도는 ㎏당 156-295㎎, 하천수의 불소농도는 리터당 0.08-1.02㎎, 지하수의 불소농도는 리터당 0-0.05㎎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불산(불화수소산: Hydrofluoric Acid)은 불소가 수소와 결합한 화합물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소농도로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흙을 검사한 뒤 작물 특성에 맞게 석회를 뿌리고 경작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고, 흙을 검사할 수 없으면 표준 석회시용량(200㎏/10a)을 뿌리도록 지도할 방침이며, 불소는 석회로 처리하면 불활성 화합물로 고정돼 식물체에 영향이 적다고 알리고 있다.
또 산동면 봉산리와 임천리에서 채취한 농작물 205건 가운데 202건에서 불소가 검출돼 피해지역 312㏊의 농작물을 모두 폐기한다고 밝혔다.
시료로 채취한 농작물의 불소농도는 1.0-472.1ppm으로 조사됐으나 자연상태에서 불소는 극소량이기 때문에 불소에 대한 안전기준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관계자는 “기준치는 없더라도 불산에 노출된 농작물을 식품으로 사용하거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 조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피해가 확인된 과수원의 나무도 모두 폐기하기로 하고, 피해지역 야산에 있는 나무들도 조사를 거쳐 폐기할 방침이다.
다만, 피해증상이 확인되지 않은 과수원은 2013년 봄에 생육상황을 관찰한 뒤 영농지속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으며, 가축은 조사 결과 건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민의 우려 등을 고려해 모두 살처분하기로 결정했다.
농촌진흥청은 따로 소 22마리를 구입해 불산이 미치는 상태를 장기적으로 연구ㆍ조사하기로 했다.
그러나 상당수 주민은 경작할 수 있다는 정부 발표에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박종욱 주민공동대책위원장은 “민ㆍ관 합동조사라고 해도 주민이 한 사람도 포함되지 않아 정부의 발표자료를 신뢰할 수 없다”며 “들어가서 살라고 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는 10월2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경북 구미에서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제1차 재해복구비로 292억원을 지원하기로 협의하고 107억원의 예비비 지출안을 처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