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4세대 그린메모리 공세
초절전ㆍ고성능 SSD 공개 … 전력소모ㆍ이산화탄소 감축
화학뉴스 2012.11.07
삼성전자(대표 권오현)가 지구온난화와 자원고갈 등 환경문제에 대응할 초절전 고성능의 차세대 <그린메모리> 전략과 신제품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11월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그린메모리 솔루션으로의 진화>라는 주제로 열린 <삼성 메모리 솔루션 CIO 포럼 2012>에서 10월 양산에 들어간 4세대 그린메모리 신제품을 처음 선보였다. ![]() 세계 최초로 양산하는 20나노급(2y나노ㆍ중반) 4Gb DDR3 D램은 4세대 그린메모리 솔루션의 핵심제품으로, 전력소모를 3세대인 20나노 후반 D램제품에 비해 7% 절감할 수 있고, 40나노급 DDR3 D램보다 3배 이상 생산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2011년 9월 20나노급(2x나노ㆍ후반) 2Gb DDR3 D램 양산에 이어 2012년 3월 20나노급(2x나노) 4Gb DDR3 D램을 양산한지 불과 7개월 만에 20나노급(2y나노) 4Gb DDR3 D램 양산에 들어갔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홍완훈 부사장은 “업그레이드된 20나노급(2z나노ㆍ초반) D램을 2013년 상반기에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09년 40나노급 D램 기술을 바탕으로 1세대 그린메모리 반도체제품과 전략을 발표한 이후 매년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과 전략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또 20나노급 D램제품을 기업 서버와 모바일 시장에서 PC시장까지 확대해 기존 30ㆍ40나노급 D램을 빠르게 대체함으로써 일반 소비자까지 IT 투자효율을 극대화하고 전력 절감으로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공개된 신규제품 중 4세대 그린메모리 제품 가운데 기업 서버용 SSD(Solid State Drive)인 480GB SATA MLC SSD(SM843)는 서버 시스템에 탑재하면 40나노급 D램과 HDD(Hard Disk Drive)로 이루어진 서버 시스템보다 처리속도를 6배 높이고 소비전력은 26% 낮출 수 있다. 또 새로 내놓은 프리미엄급 기업 스토리지용 SSD인 800GB SAS MLC SSD(SM1625)는 기존 SATA 규격의 SSD에 비해 쓰기 속도를 최대 10배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세계 모든 서버와 스토리지, 노트북에 4세대 그린메모리 SSD를 10%, DDR3를 20%를 탑재하게 되면 2013년에만 전력량을 무려 3.5TWh 절감할 수 있다”며 “241만톤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는 효과로 10년생 나무 약 6000만그루를 새로 심는 효과”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2/11/0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삼성SDI, 글로벌 배터리 특허 “1위” | 2025-09-29 | ||
[배터리] 삼성SDI, ESS에 LFP 배터리 탑재 | 2025-09-10 | ||
[전자소재] 삼성D, BOE 퇴출을 기대한다! | 2025-08-13 | ||
[배터리] 삼성SDI, 배터리 최장 주행 신기록 | 2025-08-07 | ||
[화학경영] 삼성SDI, EV 캐즘 속 적자전환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