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중국 통관 규제로 “고전”
시장 확대에도 중국수출 4% 증가에 그쳐 … 통관에 6개월 소요
화학뉴스 2013.03.14
한류의 날개를 단 국산 화장품이 중국의 까다로운 통관절차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2001년부터 10년 동안 연평균 15.8% 고속 성장을 거듭했으며, 2012년 시장규모가 1340억위안(약 216억달러)에 달했다. 중국시장의 급속한 성장에도 한국산 화장품의 중국수출은 2억달러로 2011년에 비해 3.9% 증가에 그쳤다. 중국의 복잡하고 까다로운 위생행정 허가 및 통관절차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에 화장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6개월 이상 걸리는 위생행정 허가를 획득하고 검역검사를 거쳐 수출입화장품심사증서를 받아야 세관통과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화장품 한광석 대표는 “한류 영향으로 한국산 화장품의 인기가 폭발적이지만 위생허가 요건이 까다롭고 비용·시간도 많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무역협회는 화장품기업들의 어려움을 타개하고자 3월13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전략·위생허가제도 설명회>를 개최했다. 중국 화장품시장 전문가인 채욱 씨앤드림 대표는 “로레알 등 글로벌 유명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80%가 넘고 현지 브랜드도 선전하는 상황에서 치밀한 시장 진출 전략과 철저한 위생행정 허가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이 우수한 품질에도 현지 시장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수출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며 “극복할 방안을 찾아 국내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적극 돕겠다”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3/03/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갈등 “폭락” | 2025-10-13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다운스트림도… | 2025-10-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석유화학] 중국, 에틸렌 1억톤으로 확대한다! | 2025-10-02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