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시장에서 한국산과 타이완산의 가격 차이가 사라지고 있다.
타이완산 PTA 가격은 일반적으로 한국산에 비해 톤당 5-20달러 높은 수준이지만 2013년 3월11일에는 모두 CFR China 톤당 1123달러 수준에 거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산은 반덤핑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타이완산에 비해 낮은 가격에 거래되지만 중국 내수 침체의 영향으로 수입량이 격감해 타이완산 가격도 하락한 때문으로 판단된다.
PTA 선물거래를 관리하고 있는 Zhengzhou 상업거래소에서는 3월11일 현물가격이 타이완산은 전주대비 4달러 하락했고, 한국산은 1달러 상승해 같은 수준을 형성했다.
한국산과 타이완산의 가격 차이는 2012년 상반기 5-20달러, 하반기 5-10달러 수준을 유지했으나 2013년 2월 들어 5달러 이하로 축소된데 이어 3월11일 0달러를 기록했다.
아시아 PTA 시장은 중국에서 거래되는 한국산과 타이완산 가격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나 최근에는 지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타이완 PTA 생산기업들은 가동률을 40% 수준으로 낮춰 중국수출을 거의 중단한 상태이고, 국내기업들도 원료 P-X(Para-Xylene) 가격과 연동하는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중국 수요기업들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수출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PTA 중국 수출량은 2013년 1-2월 35만427톤으로 전년동기대비 37% 급감했다.
시장 관계자는 “국산 PTA는 현재 일부 상사가 계약물량을 소화하기 위해 중국과 인디아로 수출하고 있을 뿐”이라며 “중국 내수가 침체돼 계약물량 외에는 수출이 매우 저조한 상태”라고 밝혔다.
중국은 대규모 PTA 신증설 플랜트가 잇따라 가동을 개시한 영향으로 수입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
중국의 PTA 메이저 Sanfangxiang의 PTA 가동률은 90%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다운스트림인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 가동률은 7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무역상들이 PTA 거래 중단을 검토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