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지시장 침체 영향 “일파만파”
종이매체 전자화로 수요 급감 … 카올린 내수 과거 최저수준
화학뉴스 2013.04.24
제지시장이 축소됨에 따라 관련 화학제품 시장도 급속도로 침체되고 있다. 제지용 수요가 안정적이었던 카올린(Kaolin),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출하량이 과거 최저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당분간 회복조짐을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일본의 종이‧판지 생산동향 일본 제지연합회에 따르면, 일본의 종이‧판지 생산량은 2012년 1-10월 2169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 감소했고 신문지를 제외한 주요 종이제품 수요가 모두 침체돼 출하량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일본 제지기업들은 2012년 초 동북지방 대지진의 영향에서 벗어나 가동을 재개함으로써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2012년 생산량이 2011년 2658만톤에 비해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예상과 달리 수출량이 15% 감소하는 등 2500만-2600만톤 수준에 머무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지 시장침체의 영향으로 제지 관련 화학제품 시장도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코트지에 사용되는 카올린은 내수가 50만톤 아래로 떨어졌고, 지력증강제로 투입되는 아크릴아마이드는 골판지 수출이 20% 이상 감소한 영향으로 출하량이 대폭 감소해 모두 과거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캐스트코트지에 사용되는 카세인(Casein) 내수는 400만톤 수준으로 매년 감소세를 계속하고 있어 2013년 350만톤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지 관련 화학제품 생산기업들이 가격 인상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탈크 생산기업 일부가 5%, 북미의 카올린 생산기업 일부가 3-7%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고, 전분 가격도 원료인 미국산 옥수수 가격 상승분을 전가함에 따라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세진 기자> 표, 그래프: < 일본의 종이‧판지 생산동향 > <화학저널 2013/04/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성장‧수익성 모두 “침체” | 2025-09-11 | ||
[페인트/잉크] 노루페인트, 건설용 페인트 침체로… | 2025-08-19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중국 경제 침체로 하락 | 2025-08-18 | ||
[화학경영] 코베스트로, 수익성 침체 장기화… | 2025-08-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일본, 스페셜티로 침체 극복한다!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