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T, 대-중소기업 협력안 모색
산업부, 동반성장포럼 개최 … 네트워킹 강화로 사업화 촉진
화학뉴스 2013.05.14
정부가 차세대 꿈의 소재로 평가받고 있는 CNT(Carbon Nanotube) 사업화를 적극 지원키로 했다.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5월14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 케이 서울호텔에서 CNT 관련기업 관계자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산업부는 지난 10년간 CNT R&D(연구개발)에 투자해왔으나 성과가 미흡했다며 앞으로 사업화를 집중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CNT 시장은 2013년 5억달러에서 2020년 80억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어서 상용화와 시장 선점이 절실한 상황이다. 산업부는 다중벽 CNT는 가격이 kg당 50달러 선으로 최근 크게 떨어졌으나 단일벽 CNT는 kg당 5만달러에 달할 정도로 가격이 높아 CNT 응용제품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CNT 소재의 표준화와 규격화가 미비하고 유해성 기준이 명확치 않은 것도 상용화에 난관으로 작용했으며, 대부분이 중소기업인 CNT 생산기업과 대기업인 수요기업 사이의 네트워크가 없어 대기업들이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는 문제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CNT 상용화 R&D 지원 강화 △수요기업 네트워킹과 협력강화 △CNT 사업화 촉진 △안전 및 표준화 기반 구축 등 4가지 정책과제를 집중 추진할 방침이다. 포럼에는 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서 CNT를 활용한 전자소재 개발방향과 이슈를 소개했고, 중소기업과의 협력방안을 발표했으며, 르노삼성자동차는 차체 경량화, 전기자동차 배터리 성능향상을 위한 CNT 소재 개발과 양산 적용계획 등을 발표했다. 김학도 산업부 창의산업정책관은 “최근 CNT의 성능향상, 가격하락, 응용분야 확대 등으로 CTN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CNT 등 나노기술이 기존산업과 만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화학저널 2013/05/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나노소재] CNT, 상용화 장벽 아직도 높다! | 2025-08-29 | ||
[나노소재] CNT, AI 데이터센터용 수요 창출 | 2025-07-24 | ||
[나노소재] 대진첨단소재, CNT 기술력 강화 | 2025-07-18 | ||
[나노소재] CNT, 2029년 3조7500억원대 형성 | 2025-04-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나노소재] 나노카본 ②, 일본, CNT 소재 고기능화 6G 시대 도래를 대비한다!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