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화 대응 차세대 프로세스 도입 … 일본서는 태양전지 개발 박차
화학뉴스 2013.06.26
ADEKA가 전자소재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차세대 프로세스의 생산 및 연구개발체제를 강화하고 있다.반도체는 한국에서 메모리용 차세대 고유전율 소재 및 절연막 소재를 생산할 계획이며, 태양전지는 2015년 사업화를 목표로 대학과 공동으로 박막계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ADEKA는 글로벌 최대의 D램 캐퍼시터용 고유전율 소재 메이저로 국내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반도체 시장은 최근 차세대 프로세스인 선폭 20nm 이하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어 ADEKA도 미세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소재 생산라인을 국내공장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한국 R&D센터에서도 차세대 프로세스에 대응한 연구개발을 진행할 방침이다. 한국 R&D센터는 반도체용 도금약품을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2013년 원자층 증착기술(ALD: Atomic Layer Deposition) 설비를 도입해 고유전 소재 뿐만 아니라 NAND 플래시메모리의 게이트전극 주변소재의 평가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요코하마국립대학과 공동으로 중합 개시제를 개발하고 있다. 해상도 향상을 목표로 염기 발생제를 개발하고 있어 광산 발생제(PAG: Photo Acid Generator)와 균형 있게 사용함으로써 레지스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마대학 등과 함께 2015년 실용화를 목표로 색소증감형 태양전지도 개발하고 있다. DVD용 색소를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3년까지 셀 변환효율 8%, 모듈 변환효율 5.5%를 달성할 방침이며, 색소는 비금속계인 시아닌(cyanine)계 등을 사용할 계획이다. 또 롤투롤(Roll-to-Roll) 방식을 전제로 유기박막 태양전지도 개발하고 있다. PT(Polythiophene)계, Picene계 소재를 사용해 변환효율을 비결정성 실리콘과 동등한 6%까지 향상시킬 방침이며, 경량화, 코스트다운, 가공성 향상을 주력으로 추진하고 있다. ADEKA는 2012년 전자관련 사업의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201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0억엔 증가한 210억엔, 영업이익은 4억엔 증가한 31억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세진 기자> <화학저널 2013/06/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전자소재, 저금속화 기술 진전 | 2024-08-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전자소재, 관세 영향 “예측불가” | 2025-06-20 | ||
[전자소재] 차세대 전자소재, EV, LFP 트렌드 가속화 PSC로 전력난 해결한다! | 2025-05-23 | ||
[전자소재] 전자소재, 잉크젯으로 친환경 강화 | 2024-09-20 | ||
[EP/컴파운딩] TPE, 크레이튼, 전자소재용 특화 일본, 의료·자동차용 주력 | 2024-08-1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