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체, 희토류 강세로 좌불안석
|
중국, 2011년 채굴 9만3800톤 제한 … 뒤늦은 대응으로 위기 화학저널 2013.07.08
형광체 생산에 채용되는 희토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및 조명산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급 형광체의 발광원소에는 희토류 원소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적색에는 Eu(Europium), Y(Yttrium)이, 녹색에는 Ce(Cerium), La(Lanthanum), Tb(Terbium)가, Blue에는 Eu가 채용되고 있다. 글로벌 희토류 매장량은 중국 5500만톤, 러시아 1900만톤, 미국 1300만톤, 인디아 310만톤, 오스트레일리아 160만톤, 브라질 4만8000톤, 말레이지아 3만톤, 기타 2200만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은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어 중국의 희토류 수출제한이 형광체 시장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중국 국토자원부는 희토류 채굴량을 연간 9만3800톤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형광체에 채용되고 있는 희토류는 1만3400톤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2012년 6월30일까지 희토류 신규채굴 허가를 중단했으며 광산기업의 무허가 채굴규제를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세계 희토류 매장량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희토류, 국산화 기반 확립 서두른다! | 2025-09-22 | ||
| [무기화학/CA] 포스코, 탈중국 희토류 공급망 구축 | 2024-03-12 | ||
| [금속화학/실리콘] 희토류, 탈중국 위해 아프리카로… | 2023-08-17 | ||
| [파인세라믹] 희토류, 중국 의존 낮추기 “총력” | 2023-08-10 | ||
| [파인세라믹] 지르코니아, 희토류 없이 고기능화 | 2023-07-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