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센서, 반응성‧유연성 양립기술 개발
무‧유기 반도체 물질 결합 … 태양전지‧바이오센서 효율 향상에 도움
화학뉴스 2013.07.22
국내 연구진이 무기‧유기 반도체 물질을 결합해 반응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광센서를 개발했다.
광 반응성이 뛰어난 무기물질, 유연성이 높은 유기물질의 장점을 모두 살려 개발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곡면에서 유연한 광센서를 구현하거나 태양전지, 바이오센서 등의 효율을 높이는데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주병권 교수와 오태연 박사과정 연구원,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학 전기컴퓨터공학부 젠치안 마 교수와 서정훈 박사과정 연구원 등 연구팀은 연구결과가 나노분야 학술지 <첨단기능성소재(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온라인판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고 7월21일 밝혔다. 광센서에서 빛을 감지하는 광다이오드 소자는 대부분 실리콘(Silicon)을 기반으로 단단한 기판 위에 제작되기 때문에 쉽게 구부릴 수 없으며, 고온의 초저진공 상태에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응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유기물질과 무기물질을 접합해 광센서에 유연성을 부여했다. 단단한 기판에 놓인 실리콘 박막을 유연한 기판에 옮기고 유기반도체 물질을 붙인 것으로, 합성고무를 스탬프처럼 이용해 실리콘 박막을 찍어 옮겼다. 새롭게 개발된 광센서는 기존 유기 광다이오드에 비해 광반응성이 수배에서 수십배 가량 뛰어나고, 홍‧청‧황색의 빛에서 광반응 특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부려도 소자의 광 반응성이 크게 변하지 않고 부러지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개발을 진행했다. <화학저널 2013/07/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삼성전자, 광센서 LCD패널 양산 | 2011-12-0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LED 광센서 소재 시장 급성장 | 2007-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