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10월 7일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장기간에 걸쳐 석유수지(Petroleum Resin)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가운데 독점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세계 석유수지 시장은 연평균 2-3% 성장하고 있고 국내시장도 성장성을 계속하고 있어 코오롱의 행보가 주목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대표 박동문)는 국내 유일의 석유수지 생산기업으로 울산 및 여수의 생산능력이 12만톤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2014년 가동을 목표로 대산에 3만톤 플랜트를 증설하고 있어 석유수지 총 생산능력을 15만톤으로 확대함으로써 ExxonMobil 28만톤, Eastman Chemical 22만톤에 이어 세계 3위의 위치를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석유수지는 원료 및 제조공정에 따라 C5계, C9계, C5/C9 공중합계, DCPD(Dicyclopentadiene) 수지를 수소첨가 반응시킨 수첨 석유수지로 분류되고 있다. 국내시장은 원료에 따라 용도가 구분되고 있고 접착제용에 수요가 몰려 있으며 잉크, 도로용 페인트, 고무용 점착제, 타일 및 카페트에도 일부 공급되고 있다. 석유수지는 수요는 많지 않지만 일정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캐시카우(Cash Cow)로 역할할지 주목되고 있다. 표, 그래프: <국내 석유수지 수출동향><중국산 석유수지 수입동향><석유수지의 수요비중(20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제지화학 ①, 제지산업 위축 가속화 바이오 화학으로 변신… | 2025-11-14 | ||
| [EP/컴파운딩] 우레탄 ①, 금호, MDI 강자로 부상 한화, TDI 호조 기대한다! | 2025-11-14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①, 범용 중심 수출전략 한계 뚜렷 국도·금호, 스페셜티 전환한다! | 2025-10-31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①, 다우·바커는 사업구조 개편 KCC, 불확실 구조 타파하라! | 2025-10-24 | ||
| [석유화학] 타이 ①,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초토화… 석유화학 사업 재정비 착수…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