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신, 중국산에서 대장균체 검출
GBT․EPPENS 생산제품에서 나와 … 유럽에서는 중국산 수입금지
화학뉴스 2013.12.05
대장균을 배양해 생산한 중국산 라이신(Lysine)이 국내에 유입되고 있다.
![]() 국내 라이신 수요는 2만2000-2만4000톤 수준으로 시장점유율은 백광산업 60-70%, 중국산 20-30%, CJ제일제당 10%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사료에 투입되고 있다. 중국산은 저가공세로 2년 전 10%였던 점유율을 30%로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기업은 GBT, Golden Corn, EPPENS이 공급하고 잇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GBT가 중국산의 60-70%를 차지하고 있다. 라이신은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을 배양해 생산하고 있으나 중국은 대장균인 E.Coli(Escherichia Coli)를 배양해 생산하고 있어 위험성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GBT와 EPPENS이 E.Coli로 배양한 라이신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어 독성에 대한 규제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대장균 배양으로 라이신을 제조해도 대장균이 죽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장균에 대한 부작용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Endotoxin 등 독성성분이 코리네박테리움으로 배양한 라이신 보다 10배 이상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은 사료첨가제 규제가 확립돼 코리네박테리움으로 배양한 라이신만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국내에서는 규제가 전무한 상태로 라이신의 안전성이 무시되고 있다. <허웅 기자> 표, 그래프: < GBT의 라이신 현미경 확대 사진 > <화학저널 2013/12/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CJ제일제당, 대상 상대 라이신 소송 | 2020-11-24 | ||
[화학경영] CJ, 라이신·메치오닌 경쟁력 강화… | 2019-08-09 | ||
[농화학] CJ제일제당, 라이신 생산 강화 | 2019-02-14 | ||
[농화학] CJ, 라이신 사업 확장 “성공적” | 2018-12-20 | ||
[농화학] CJ, 브라질 라이신 사업 확대 | 201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