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 3D프린터 잉크용 ABS 대체
뛰어난 성형성에 냄새도 적어 … 가정용에서 ABS 대체소재로 부상
화학뉴스 2014.03.04
PLA가 3D프린터 잉크용으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PLA(Polylactic Acid)는 융점이 낮고 경화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열용해적층(FDM) 방식에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PLA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와 달리 용융 시에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가정용을 중심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D프린터는 광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해 성형하는 광조형(STL), 수지‧금속 분말소재를 레이저로 소결하는 분말소결(SLS), 전분이나 석고분말을 수지로 접착하는 잉크젯 분말적층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공업, 의료 등 연구용 시험제작, 제조업의 다품종 소량 생산제품 등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를 잉크로 사용해 성형 테이블에 적층하는 FDM 방식이 가장 주목받고 있다. 소형이면서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으로, 일본에서는 가정용으로 10만엔 수준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업용 FDM 시스템은 잉크로 EP(Engineering Plastic) 및 슈퍼 EP를 주로 채용하고 있으나 가정용은 PLA와 ABS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모두 1.75-3mm의 섬유 상태로 공급되고 있으며 kg당 5000엔 수준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3D 프린터 시장규모는 2011년 638대, 41억3000만엔 수준에서 2015년 1800대, 77억엔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가정용 FDM 시스템 판매가 호조를 보여 PLA 수요도 신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가정용 잉크로는 ABS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가정에서는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점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PLA로 전환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화학저널 2014/03/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폴리머] PLA, 효율적 CR 프로세스 확립 | 2025-07-07 | ||
[바이오폴리머] PLA, 커피필터 적용 기대… | 2025-02-17 | ||
[전자소재] UV레진, 3D프린터용 시장 급성장 | 2025-02-05 | ||
[바이오폴리머] PLA, 제약·의료 용도 관심 확대 | 2025-02-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폴리머] 바이오 플래스틱, SK·현대·CJ 국산화 경쟁 LG화학, 미국 PLA 철수했다!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