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공기전지, 효율 확대기술 개발
액상촉매 도입 에너지 효율 향상 … CNT 구조체 사용으로 수명연장
화학뉴스 2014.03.11
차세대 친환경 리튬공기전지 효율을 향상시켜 대용량 전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강기석 재료공학부 교수팀 등 공동 연구팀이 리튬공기전지의 새로운 양극소재를 개발하고 효율적인 촉매를 도입해 전지 성능을 높였다고 3월11일 밝혔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와 임희대 연구원 주도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김용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R.H.보프만 미국 텍사스주립대학 교수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이온 2차전지(LiB: Lithium-ion Battery)나 니켈수소전지를 사용한 기존의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엔진 자동차에 비해 주행 거리가 짧아 대안으로 리튬이온 공기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리튬공기전지는 LiB에 비해 용량이 5-10배 가량 크지만 에너지 효율이 낮아 새로운 양극재와 촉매를 개발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공동 연구팀은 일렬로 정렬된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직물을 합성하고 교차로 엮은 다공성의 직물 구조체를 양극재로 사용해 안정적 수명특성을 확보했고, 새로운 개념의 액상촉매를 도입해 효율적인 충‧방전을 가능해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기석 서울대 교수는 “차세대 축전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으로 각광받는 친환경 리튬공기전지의 성능을 월등히 높였다”며 “개발된 고용량·친환경 전지는 전지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화학분야 우수 저널 <화학저널 2014/03/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DX, 화학기업 회계업무 효율화 | 2025-08-06 | ||
[디지털화] DX, 연구개발‧생산성 효율화한다! | 2025-07-18 | ||
[바이오폴리머] PLA, 효율적 CR 프로세스 확립 | 2025-07-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중국에 맞서 효율화한다! | 2025-09-12 | ||
[자동차소재] 자동차 시스템, LFP·OLED·AI가 핵심 전기자동차 효율 좌우한다!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