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래스틱, CO2 감축효과 “톡톡”
유효이용률 상승에 따라 감축효과 향상 … 에너지 소비도 줄어들어
화학뉴스 2014.03.14
일본이 폐플래스틱의 유효이용에 따른 에너지 소비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 감축효과를 확인했다.
일본 플래스틱순환이용협회에 따르면, 폐플래스틱의 유효이용률이 향상됨에 따라 2010년 에너지 소비량은 217PJ(Petajoule), CO2 배출량은 1615만톤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래스틱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LCA(Life Cycle Assessment)를 통해 평가한 것으로 2000년, 2005년, 2008년, 2009년, 2010년의 라이프스테이지, 유효이용 종류별 자원‧에너지 소비량, CO2 배출량을 산출해 폐플래스틱의 유효이용과 미이용을 비교 분석했다. ![]() MR(Material Recycle), CR (Chemical Recycle), 폐기물발전, 고형연료화 등에 따른 폐플래스틱 유효이용량은 2010년 723만톤, 이용률은 77%로, 폐플래스틱을 모두 단순 폐각했을 때와 비교한 결과 에너지 소비량은 21%, CO2 배출량은 33%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이용률이 46%에 불과했던 2000년에 비해 CO2 배출 감축량이 2배 수준 확대돼 유효이용률이 상승함과 동시에 감축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일본 플래스틱순환이용협회는 최근 폐플래스틱 리사이클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정량적인 효과에 대한 정보 개시가 요구됨에 따라 LCA에 따른 평가공법을 개발해 2011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표, 그래프: <일본의 폐플래스틱 유효이용에 따른 환경부하 감축효과 > <화학저널 2014/03/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CO2, 인계 고체 흡수제 개발했다! | 2025-09-19 | ||
[바이오연료] SAF, CO2 베이스 생산 본격화 | 2025-09-01 | ||
[리사이클] 롯데케미칼, 폐플래스틱 순환 앞장 | 2025-08-20 | ||
[환경] 폐플래스틱, 첨가제 리스크 점검 | 2025-07-28 | ||
[환경화학] KIST, 아민계 CO2 흡수제 개발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