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 유‧무기 하이브리드 개발
화학연구원 석상일 박사팀, 연료감응형 구조 활용 … 저비용‧고효율
화학뉴스 2014.05.29
한국화학연구원 석상일 박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의 장점만을 모은 신개념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연구팀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구조를 바탕으로 높은 광 흡광도를 가진 반도체 나노입자와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전도성 고분자를 효과적으로 결합해 신개념의 유·무기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유·무기 소재의 장점과 나노구조의 장점, 화학적 용액공정의 장점을 결합해 저가이면서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연구원 관계자는 “기존 태양전지에 비해 화학적으로 쉽게 합성할 수 있는 저가 소재를 사용해 용해‧코팅하는 경제적이고 단순한 공정”이라며 “저비용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제조를 위한 원천기술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인쇄법에 의한 대량‧대면적 코팅방법 개발, 모듈화 연구 및 안정성 확보 기술 등 상용화를 위한 기반기술을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석상일 박사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제조 기술로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 수준의 효율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및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글로벌연구실 사업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발명자인 스위스 로잔공과대학교 그래첼(Graetzel)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화학저널 2014/05/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탠덤형 곧 상용화한다! | 2025-06-25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2026년 리사이클 상용화 | 2025-05-09 | ||
[신재생에너지] 인디아, 중국산 태양전지 배제 | 2025-04-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플렉서블 실증 착수 | 2025-09-12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고용량화 니즈 대응 가속화 전고체·태양전지 부상한다!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