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육성대책 “허풍” 가득
활용 인력 1000만명 양성 … 제조혁신센터에서 산업 활용 지원
화학뉴스 2014.06.19
정부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3D프린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1000만 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1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제1회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를 개최하고 육성 지원 계획을 확정했다.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는 2013년 4월 제5차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발표된 3D프린팅산업 발전 전략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출범한 범정부 정책 협의체이며 윤종록 미래부 2차관과 김재홍 산업부 1차관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고위 공무원이 참여한다. 협의회는 우선 3D프린팅 기술 체험·교육을 활성화해 2020년까지 1000만명의 활용 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초·중·고교생, 일반인, 예비창업자, 공무원, 관련산업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세분화한 교육과정을 개발·보급하고 3D프린팅 특성화대학(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또 3D프린팅산업의 저변을 넓히기 위해 2017년까지 전국 과학관·도서관 227개와 5885개 초·중·고교에 3D프린터를 보급하고 광역시를 중심으로 130개의 국민체험·활용 인프라를 구축해 누구나 쉽게 3D프린터를 체험하도록 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3D프린팅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통합한 국가 3D프린팅 종합 포털을 운영하고 전국 6곳에 제조혁신지원센터를 구축해 3D프린팅이 자동차·전자·항공 등 주요 제조산업 공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새로 마련된 지원책이 국내 3D프린팅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기존 산업을 고도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4/06/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3D프린팅, 항공우주용 소재화 | 2024-05-08 | ||
[나노소재] 3D프린팅, 차세대 금속 소재 개발 | 2024-02-28 | ||
[전자소재] 울산, 3D프린팅산업 육성 본격화 | 2021-02-19 | ||
[전자소재] 3D프린팅 품질평가센터 착공 | 2020-11-03 | ||
[제약] HK이노엔, 3D프린팅 인공피부 활용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