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반기 중국수출 32만톤 불과 … 중동산 점유율 급속 확대
화학뉴스 2014.09.03
중국의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수입량 가운데 중동산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
2014년 상반기 수입량이 2013년 상반기에 비해 10% 가량 증가한 가운데 이란, 사우디, UAE 등 중동산이 2/3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타이는 중국 수출이 줄고 일본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하반기에도 중동산 수입량을 증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타이산 HDPE의 한국 및 일본 수입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중국 통관통계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HDPE 수입량은 240만톤으로 2013년 상반기에 비해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수입국인 이란산은 51만톤으로 30% 급증하며 점유율도 21% 수준으로 급격히 상승했다. 사우디는 49만톤으로 13%포인트 가량 상승하며 점유율 20%를 차지했고 UAE는 9만톤에서 33만톤으로 수입량이 크게 늘어나며 점유율도 14%로 상승했다. 카타르와 쿠웨이트산 수입량은 큰 변동이 없었으나 3국의 점유율이 47%에서 55%로 상승한 영향으로 중동산 전체 점유율이 6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4위를 차지한 한국산은 34만톤에서 32만톤으로 소폭 감소했고, 타이는 16만톤으로 수출량은 소폭 증가했으나 점유율은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일본의 HDPE 수입량은 7만8000톤으로 35% 증가했고 타이산이 5만9000톤을 차지했다. 타이는 2014년 상반기 HDPE 수출량이 58만톤으로 2% 수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수출국가인 중국으로는 14만8000톤 수출하며 약 1만3000톤 감소한 반면 일본수출은 6만3000톤으로 2만톤 증가했다. 하반기에는 UAE의 Borouge와 이란 IPC의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중국시장에 중동산 수입량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하반기 HDPE 생산능력이 100만톤 가량 증가할 예정으로 알려져 중국산과 중동산 확대로 자리를 잃은 아시아산 HDPE가 저가에 일본‧한국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강슬기 기자> 표,그래프: < 중국의 HDPE 수입동향 > <화학저널 2014/09/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HDPE, 루피화 약세·재고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HDPE, 약세 속 대규모 정기보수… | 2025-09-22 | ||
[석유화학] HDPE, 동북아 약세 속 보합세… | 2025-09-15 | ||
[폴리머] 한국선급, 함정에 HDPE 적용 성공 | 2025-08-13 | ||
[석유화학] HDPE, 관세유예 종료 앞 관망세… | 2025-07-28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