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11월 10일
연료전지 시장은 형성 초기부터 과열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가 지속적으로 기술을 이전받아 국산화하고 있는 반면, 두산은 국내외 원천기술을 확보한 기술기업을 인수하면서 기술 및 네트워크를 빠르고 확보해가고 있다. 현대하이스코도 10년 넘게 투자해온 연료전지 시장을 자동차용에서 건물용 및 발전용 등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코오롱워터앤에너지와 LG도 해외기업을 인수해 연료전지 사업에 진출했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사업성 의문에 투자비 과다를 이유로 과감하게 사업철수를 결정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일부 대기업들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해외기업을 인수해 진출하는 것이 단기간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이라며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산화되지 않은 기술력으로는 시장을 확대하는 것에 한계가 따를 수도 있다는 의견과, 특히 높은 투자비용과 오랜 준비기간으로 인해 대기업 위주로 시장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무리한 경쟁이 유도돼 시장질서가 무너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표,그래프: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설치현황(146.65MW)>>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신재생에너지] 두산, 수소연료전지 계약 추가 취소 | 2025-04-03 | ||
| [배터리] 두산퓨얼셀, 연료전지 계약 해지 | 2025-04-01 | ||
| [배터리] 바이오연료전지, 성능 8배 향상 | 2024-07-03 | ||
| [배터리] 한화에어로, 수소연료전지 주도 | 2024-05-24 | ||
| [배터리] 현대, 연료전지 사업 확대한다! | 2024-02-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