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백용 인플레이터 공급 확대
|
Daicel, 타이․중국․미국 증설 … 세계시장 30% 장악 목표 화학뉴스 2015.01.29
Daicel이 자동차 에어백용 인플레이터(가스발생장치) 공급을 확대한다.
타이, 중국, 미국 공장을 증설하고, 특히 북미의 자동차 생산 확대와 맞물려 신규 공장을 건설해 2015년부터 추진하는 3개년 중기경영계획 기간에 가동할 예정이다. 중기 경영계획에서는 인플레이터 7800만개 판매를 계획하고 있으며, 2016년 이후에도 설비투자를 계속할 계획이다. Daicel은 글로벌 인플레이터 시장의 20%를 장악하고 있으며 세계 공급망의 최적화를 꾀함으로써 2020년까지 점유율을 30%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Daicel은 2015년 시작하는 3개년 중기경영계획 <3D-Ⅱ>를 통하여 핵심사업 성장, 신규사업 창출, 기존사업의 글로벌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하며 성장분야에 경영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핵심 중 하나인 화학제품 사업부는 자동차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안전벨트용 마이크로가스제너레이터(PGG), 각종 발사약품 등을 취급하고 있다. 주력제품의 하나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는 일본, 미국, 타이, 폴란드, 중국 공장에 새로운 제조·판매 거점으로 한국에 Daicel Safety Systems Korea(DSSK)를 설립하고 2014년 말부터 가동을 개시했다.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 확대에 발맞추어 공급 시스템을 확충하고 있으며 2016년 판매량이 7800만개로 2012년 5400만개의 15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6년 이후에는 타이, 중국, 미국 공장 증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켄터키의 Daicel Safety Systems America (DSSA)에는 새로운 생산설비를 도입해 2016년 가동할 예정이다. 특히, 북미는 자동차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어 미국이나 멕시코에 신규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 DSSA는 증설여력이 줄어들고 있어 2012년 인수한 이니시에이터(인플레이터용 점화부품) 생산기업인 Special Devices(SDI)의 애리조나 메사 공장 인근에 제2공장을 건설해 수요증가에 대응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폴리에스터, 에어백용 나일론 대체 | 2019-03-07 | ||
| [EP/컴파운딩] TPE, 중국 에어백용 시장 급부상 | 2017-03-27 | ||
| [EP/컴파운딩] AKC, 에어백용 나일론66 강화 | 2014-12-15 | ||
| [폴리머] Sumitomo, 에어백용 TPO 증설 | 2010-10-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자동차소재] 에어백 인플레이터 사업 구조개혁 | 2021-07-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