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정책]

정부 산하 공급기관들은 중복된 연구와 고임금으로 예산 낭비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 구조조정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학과 관련한 공공기관들은 나노, 친환경, 탄소 등 연구가 중복되면서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예상낭비의 핵심요인이 되고 있다.
석유화학, 화학 관련 국내 공공기관은 총 34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으로 업무를 체계적으로 구분해 분석하는 시스템이 없어 관련사업 및 해당 공공기관을 일일이 추적해야 하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화학연구와 관련한 33개 공공기관 평균 직원 수는 522명, 평균 임금은 7165만원으로 국내 대기업 평균연봉 7700만원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산업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수당, 문화비를 비롯한 복지비용, 최근 문제가 됐던 직원자녀 학자금 지원 등 다양한 복지혜택이 주어져 실질적인 수혜를 감안하면 대기업을 크게 넘어선다”고 주장했다.
33개 공공기관의 2013년 전체 영업이익은 701억원에 그친 반면 정부의 순수 예산은 1조3056억원으로 20배에 육박해 예산낭비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연봉, 평균 7012만원에 복지 상상초월
33개 공공기관의 임금은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2013년 평균 연봉이 7165만원을 기록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9637만원으로 1위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9537만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직원 대부분이 연구원으로 석·박사로 구성됐다고 가정하더라도 평균 연봉이 1억원에 육박하며 고액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도 각각 9054만원, 9034만원으로 9000만원을 넘어섰다. 이어 광주과학기술원이 8884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에너지경제연구원 8806만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8662만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8547만원으로 나타났다.
화학 연구기관인 한국화학연구원은 8487만원으로 상위에 랭크됐으며 한국산업기술시험원 8198만원, 한국세라믹기술원 8159만원, 한국가스공사가 8053만원을 기록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7811만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7614만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517만원, 코트라 7514만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7455만원, 산업연구원 7255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7267만원, 한국석유공사 7159만원, 한국표준협회 7060만원으로 평균 연봉을 상회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6976만원으로 평균을 밑돌았으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879만원, 한국가스기술공사 6692만원, 한국과학창의재단 6472만원을 나타냈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5839만원으로 평균 연봉이 6000만원을 하회했고, 대한석탄공사 5739만원, 전략물자관리원 5663만원, 연구개발특구지원단 5579만원, 에너지관리공단 5572만원, 한국석유관리원 5384만원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복지수준은 연봉을 초월하는 최고 수준을 자랑하며 과도한 복지는 방만경영의 핵심으로 개선 요구가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기관 1인당 사내복지기금 규모는 시장형 공기업 1485만원, 준시장형 공기업 1342만원, 기금관리형 663만원,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240만원, 기타 공공기관 74만원으로 나타났다.


적자사업, 48%가 영업이익 적자 “위험”
화학 연관 33개 공공기관의 2013년 평균 매출은 1조5715억원, 영업이익은 701억원, 당기순이익은 28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총 33개 기관에서 16개 기관이 영업적자를 기록해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마이너스 457억원으로 최대를 기록했고 대한석탄공사 마이너스 393억원, 에너지관리공단 마이너스 209억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너스 114억원을 나타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마이너스 101억원, 한국광물자원공사 마이너스 54억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마이너스 37억원, 산업연구원 마이너스 22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한국가스공사는 영업이익이 1조4882억원으로 최대를 기록했으나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 2036억원을 기록했고, 한국석유공사도 영업이익은 9254억원을 나타냈으나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 7157억원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반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67억원, 한국가스기술공사 163억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59억원 등은 흑자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나타냈다.
산업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부채는 심각한 수준”이라며 “사기업이라면 위기론이 거론될 만큼 문제가 된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기관은 공익 추구를 바탕으로 하지만 장기간 누적된 적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사람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수장이 해당 연구원 직원이 아니라 정권에 따라 낙하산 인사로 등용되는 사례가 대부분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기관을 이끌어줄 기관장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만성적자, 책임자 없이 적자 누적돼도 나몰라…
공공기관의 영업실적 부진은 한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매년 누적돼 왔다는 점에서 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13년 최대 영업적자를 기록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2009년 257억원, 2010년 195억원, 2011년 349억원, 2012년 302억원에서 2013년 457억원으로 5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데 이어 적자폭도 확대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2011년 19억원, 2012년 21억원 흑자에서 2013년 114억원 적자로 전환했고, 한국세라믹기술원도 2012년에는 30억원 흑자를 기록했으나 2013년 적자로 돌아섰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2009년 2억원, 2010년 5억원, 2011년 6억원, 2012년 5억원, 2013년 2억원대로 5년 넘게 적자를 지속했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2009년 25억원, 2010년 9억원, 2011년 9억원으로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다 2012년 9억원 흑자로 전환했으나 2013년 28억원 적자로 돌아섬과 동시에 5년 사이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도 2009년 마이너스 37억원에서 2010년 마이너스 8억원, 2011년 마이너스 45억원, 2012년 마이너스 21억원, 2013년 마이너스 20억원으로 5년 연속 적자를 이어갔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역시 2009년 5억원 적자를 기록한데 이어 2010년 12억, 2011년 4억원, 2012년 4억원, 2013년 7억원으로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2011년 마이너스 5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 2013년 2억원 적자로 적자기관으로 돌아섰고, 한국화학연구원은 영업이익이 2012년 마이너스 8억원에서 2013년 3억원으로 감소했으나 2년 연속 적자를 지속했다.
직접적인 연구기관의 마이너스 영업이익은 연구개발에는 성과보다는 투자가 기반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적자의 명분이 있으나 연구를 평가하는 평가원들의 만성 적자는 시급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연구 관계자는 “각종 평가원은 매년 사업에 대한 예산을 따오는 일에만 급급한 실정”이라며 “연구원들은 연구와 관련해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보다는 매년 일상적인 행정업무가 반복되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정부지원금 1000원억대 공공기관 수두룩
공공기관의 정부지원금은 2013년 평균 1조3056억원으로 한국가스공사가 38조6325억원으로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가스공사는 국내 가스 도입을 주도하는 특수기관으로 지원금이 가장 높았으며, 다른 공공기관은 일반적으로 2000억원에서 100억원대를 나타냈다.
정부지원금은 직접지원금과 간접지원금으로 구분되며 직접지원금은 출연금, 보조금, 부담금, 부대수입을, 간접지원금은 사업수입, 위탁수입, 독점수입을 비롯해 정부의 직접지원액 또는 간접지원액의 이자 등의 운용수익인 부대수입을 포함한다.
한국가스공사 다음으로는 한국석유공사가 1조1954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코트라 3380억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797억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375억원, 대한석탄공사 2155억원, 한국광물자원공사 2128억원으로 나타났다.
또 기초과학연구원은 1942억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582억원, 한국가스기술공사 1793억원, 한국화학연구원 1290억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177억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400억원을 기록했다.
이밖에 기초과학지원연구원 996억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815억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62억원, 광주과학기술원 956억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774억원, 전략물자관리원이 41억원으로 최저치를 형성했다.


중복연구, 효율성 반감에 예산낭비 심각
중복되는 연구로 사업의 효율성은 떨어지는 반면 예산 낭비를 부추기고 있어 구조조정을 통해 시급해 해결해야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본원연구단, 캠퍼스연구단, 외부연구단, 중이온가속기시설구축사업단으로 구분되고, 본연연구단 아래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지하실험연구단 등 4개 연구단이, 캠퍼스연구단산하에 시냅스뇌질환연구단, 나노물질화학반응연구단, 면역미생물연구단, 분자활성 촉매반응연구단, 다차원 탄소재료연구단 등 12개 연구단이, 외부연구단 산하 나노입자연구단, 나노구조물리연구단 등 5개 연구단이, 중이온가속기시설구축사업단에는 6개 연구단이 있다.
기초과학연구원 내에서도 이미 나노 관련 연구단이 중복되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유사한 명칭을 가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대덕, 오창 운영본부로 분류해 대덕운영본부에 생명과학연구부, 물성과학연구부, 전자현미경연구부가 있고, 오창운영본부 아래 질량분석연구부와 환경과학연구부가 있으며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전주, 춘천, 순천, 강릉, 제주에 센터를 분류해 운영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본사에 미래전략본부, 중소·중견기업지원본부, 기획조정부, 경영지원본부가 있으며, 지역별로 인천지역본부, 경기, 충청, 호남, 대경, 동남, 강원지역본부에 지역본부 산하에 각각 적게는 4개에서 10개까지 산하 연구그룹을 두고 있다.
마이크로나노공정연구실, 산업융합섬유, 그린가공공정, 친환경청정기술 센터 등 이미 다른 연구기관에서 진행하고 있거나 섬유부문은 한국섬유개발연구원, KOTITI 시험연구원 등 다양한 섬유관련 정부기관과 사업 중복을 피할 길이 없는 상태이다.
또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창의엔지니어링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한국세라믹기술원은 사업자체의 특이성이 없어 가장 중복되는 연구부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세라믹기술원은 전략기획본부, 에너지환경소재본부, 전자소재융합본부, 기초소재융합본부, 기업지원본부, 이천분원으로 구분되고, 에너지환경소재본부는 에코복합소재팀, 에너지변환소재팀, 에너지효율소재팀이 전자소재융합본부는 전자소재모듈팀, 광디스플레이소재팀, 지능형전자부품팀이 기초소재융합본부는 나노IT소재팀, 나노융합지능소재팀, 에코바이오융합팀이 있어 관련 팀의 명칭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노 및 디스플레이 전자소재는 모든 연구분야에 분산 중복돼 있어 관련 사업을 구체화함은 물론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태이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특구지원단 등은 연구비를 지원하고 연구예산을 측정하는 기관으로 각종 연구비를 관리하고 효율적인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중간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매년 각종 시험원, 평가원, 진흥원, 관리원이 난무하는 가운데 중복업무에 대한 구조조정보다는 추가되는 연구기관으로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힘든 실정이다.
비난이 계속되는 가운데에도 각종 명분을 내세우며 신규 연구기관이 생기고 있는 상태로 2014년에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신규 설립됐다.          

<이민지 기자: lmj@chemlocus.com>


표,그래프: <공공기관의 1인당 사내복지기금 누적액><화학관련 공공기관 예산 및 수익 현황(2013)>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화학경영] 대한유화, 중국 구조조정 수혜 2025-08-27  
[석유화학] 석유화학, 구조조정‧샤힌 “이중고” 2025-08-26  
[석유화학] 석유화학, NCC 구조조정 서둘러라! 2025-07-07  
[화학경영] 석유화학, 구조조정 가능성 높다! 2025-07-03  
[석유화학] 석유화학, 구조조정 늦추면 “붕괴” 2025-07-02  
화학경영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