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치 이상 점유율 50% 육박 … 태블릿PC는 고성능화로 차별화 필요
화학뉴스 2015.02.05
스마트폰, 태블릿PC용 FPD(Flat Panel Display)는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2012년 이후 5.0인치 이상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2014년 4/4분기 5.0인치 이상의 점유율이 4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5.5인치 이상도 수요가 확대되고 있어 5.5-7.0인치가 스마트폰 패널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중국과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요가 먼저 증가했으나 현재는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대형화로 7.0-7.9인치 태블릿PC의 패널 수요는 2014년 정점에 달한 이후 현재 추세를 유지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소형 태블릿PC의 재기는 박막화 및 경량화, 배터리 수명 장기화 뿐만 아니라 iOS와 Android 스마트폰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킬러 컨텐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태블릿PC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패널 및 세트 생산기업들은 전략적으로 10.1인치 이상의 노트북 사이즈의 투입‧제품화를 적극화하고 있다. 태블릿PC용으로는 이례적인 12.0인치, 12.2인치 또는 14.0인치 등 대형 패널 투입이 늘어나고 10.1인치는 고해상도 와이드 UXGA(Ultra Extended Graphics Array), WQXGA(Wide Quad Extended Graphics Array) 전개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7인치는 앞으로도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8인치 상업화가 수요를 좌우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7인치에서 8인치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있어 8인치는 수요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9.0-10.8인치가 볼륨존을 형성하고 9.7인치 및 10.1인치가 주력제품으로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태블릿PC도 고해상도가 추진되고 있다. 일본기업들은 LTPS(Low Temperature Polysilicon), 산화물반도체 등에 대해 적극적이지 않지만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한국기업은 산화물 반도체 액정을 생산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도 LTPS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앞으로 태블릿PC용을 양산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014년 투입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태블릿PC 수요는 저코스트화를 실현한다면 폭증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하이앤드존 점유율 10%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니터용 패널시장도 대형화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 수요는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23인치 이상 대형패널 수요가 신장하고 있으며, 고해상도화에 성공하면서 4K2K 수요도 생겨나고 있다. 2018년에는 대형 고해상도제품이 전체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곡면디스플레이와 의료, 방송, 컬러매니지먼트 등 특정 업무용 수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현지메이커의 활약이 눈에 띄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과 액정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중국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부문에서는 삼성전자가 독식하고 있는 점유율을 회복하고 있다. <화학저널 2015/02/0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AGC, FPD용 유리기판 고부가화 | 2016-06-29 | ||
[전자소재] 후지, FPD 소재 사업 적극육성 | 2016-04-29 | ||
[계면활성제] DIC, FPD용 불소계면활성제 개발 | 2016-04-05 | ||
[전자소재] 머크, FPD 중심 연구개발 “박차” | 2015-06-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LCP, 스마트폰이 성장 주도하지만… | 2018-07-0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