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Bisphenol-A 시장이 순수입에서 공급과잉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1998년 아시아 BPA 수요는 50만-51만5000톤, 생산능력은 45만1000-45만2000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시아 Nan Ya Plastics은 1999년 1/4분기에 대만 Mailiao 소재 BPA 7만2000톤 플랜트를 가동했다. Mitsui Chemicals의 자회사 Mitsui Bisphenol Singapore도 1999년3월 싱가폴Pulau Sacra 소재 7만톤 플랜트를 가동해 전량을 Teijin Polycarbonate Singapore의 PC 6만톤 플랜트에 공급할 예정이다. 또 Nippon Steel Chemical은 3/4분기에 Kyushu 소재 BPA 8만톤 플랜트를 디보틀넥킹해 생산능력을 10만톤으로 2만톤 확장할 방침이다. Nippon Steel Chemical은 동남아에서도 BPA 8만톤 플랜트를 건설, 2001-02년 가동할 예정이다. 금호P&B화학도 BPA 3만3000톤 플랜트를 15만톤으로 증설해 2001년초 가동할 계획이다. Bayer은 Mab Ta Phut에 건설중인 PC 4만톤 플랜트 인근에 BPA 16만톤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PC 생산능력도 12만톤으로 확장한다. Mitsubishi Chemical도 타이에 BPA Back-Integration 플랜트 건설을 고려중이다. Mitsubishi Gas Chemical, TOA Group과 PC 합작 플랜트를 Mab Ta Phut에서 가동하고 있다. TOA Group도 1998년 가동 예정으로 BPA 6만톤 플랜트 건설을 계획했으나 유보했다. GE Plastics은 2004-06년 아시아 PC 플랜트 가동에 맞춰 BPA 플랜트를 건설할 방침이다. 1998년 BPA 가격은 아시아 경제위기 이전인 1997년 1100-1200달러에 비해 100-150달러 하락, 다른 석유화학제품에 비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7-98년 수요가 18-19% 신장했기 때문이다. 1998-2000년에는 수요신장률이 5%로 하락한 후 2002-03년 7%로 회복될 전망이다. 표, 그래프 : | BPA 수입비중(1998) | BPA 수요구성비 | BPA 및 원료,유도품 신증설계획 | 페놀 및 BPA 국내가격 추이 | BPA 수급동향 | BPA 수요현황 | 미국의 페놀 신증설계획 | 아시아의 Bisphenol-A 증설계획 | <화학저널 1999/7/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페놀수지, 고부가 전자용으로 전환 | 2025-10-01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석유화학] 페놀, 업‧다운스트림 수요에 올라! | 2025-09-19 | ||
[폴리머] 페놀수지, 레졸형 분말화 “성공”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