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 비식용 작물로 개발
UNIST, 슈퍼 미생물 제작 발효 … 당류 구분없이 동시 발효
화학뉴스 2015.07.02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가 바이오매스의 발효능력을 강화한 인공 미생물 개발했다.
UNIST는 바이오화학물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인공 미생물을 개발했다고 7월2일 발표했다. 이성국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를 효과적으로 발효시키는 슈퍼 미생물 제작 기술을 개발해 현재 미국과 중국에서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다. 연구결과는 대사공학 분야 권위지인 <메타볼릭 엔지니어링(Metabolic Engineering> 7월호에 게재됐다. 그동안 식량으로 쓰이지 않았던 볏짚 등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는 바이오화학물질 원료로 주목받았으나 대장균 유전자가 포도당처럼 쉽게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탄수화물부터 소화함에 따라 다른 당류의 처리가 지연돼 발효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대장균이 단당류를 소화할 때 유전자 발현을 담당하는 부분을 교체해 대장균이 당류를 가리지 않고 발효하도록 조절했으며, 유전자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다양한 당을 동시에 발효시키는 것이 신규 개발한 미생물의 장점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미생물로 자일리톨 생산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일반 대장균보다 5배나 많은 자일리톨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국 교수는 “옥수수 및 사탕수수 등 식량으로 쓰이는 1세대 바이오매스가 아닌 섬유소계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바이오화학산업의 상용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고 밝혔다. <화학저널 2015/07/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PAG, 화장품용 바이오매스화 | 2025-04-02 | ||
[EP/컴파운딩] PU, 바이오매스화에 성공했다! | 2025-01-23 | ||
[플래스틱] PE필름, 쌀겨 이용 바이오매스화 | 2024-11-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LCP, 바이오매스 개발 경쟁 본격화 | 2025-02-21 | ||
[점/접착제] 접착제, 전기자동차가 유일한 희망…친환경·바이오매스 강화하라!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