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 세계 최초 바이오원료 개발
KAIST, 미생물로 1,3-다이아미노프로판 생산 … 석유계 대체
화학뉴스 2015.08.12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미생물을 이용해 1,3-다이아미노프로판(Diaminopropane) 생산에 성공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연구팀은 대장균을 활용해 의약 및 농약제품 개발에 필수불가결한 화학물질 1,3-다이아미노프로판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8월11일 발표했다. 1,3-다이아미노프로판은 농약 및 의약제품 뿐만 아니라 중합반응을 거쳐 의료용 접착제 및 EP(Engineering Plastic)에 필요한 PA(Polyamide)를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물질이지만 석유 기반으로 만들어져 제작과정에서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시스템 대사공학을 활용해 컴퓨터의 가상세포에 어떤 미생물이 생산에 가장 효율적인지 결정한 후 대사회로를 실제 대장균에 도입함으로써 1,3-다이아미노프로판을 만드는데 성공했으며, 추가 시스템 대사공학을 통해 생산량이 21배 이상 늘어 배양액 1리터당 13g의 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엽 교수는 “연구는 세계 최초로 바이오리파이너리를 통한 생산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연구를 지속해 생산량 및 생산성을 확대시킴으로써 석유 기반 물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5/08/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사이언스코, PPA로 경량화에 성공 | 2025-09-25 | ||
[석유화학] 페놀, BPA·수지 재고 비축에 올라! | 2025-09-05 | ||
[EP/컴파운딩] PA6, 중국·일본 손잡고 유럽 공략 | 2025-08-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A66, 글로벌 생존경쟁 치열하다! | 2025-08-14 | ||
[올레핀] IPA, 반도체용은 SK가 생산한다!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