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헬스케어와 접목시켜라!
미래부, 11개 유망기술 선정 … 인공광합성․녹색화 기술도
화학뉴스 2015.09.03
미래창조과학부는 <미래유망기술 상시발굴 및 준비체제>를 시범 가동해 미래유망기술 11개를 발굴했다고 9월2일 발표했다.
유망기술 가운데 진단·치료용 나노머신, 뇌신경 모방 반도체 소자, 소프트 로봇, 자연모사 감각센서 등 4개 기술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선정했다. 미래부는 생각대로 움직이는 기계 제어기술(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능성 분자전자소자, 양자컴퓨팅, 슈퍼박테리아 대응기술, 친환경 탄소제로 엔진, 인공광합성 기반 청정에너지 생산기술, 도시·해양·사막 녹색화 기술 등을 미래유망기술로 꼽았다. <미래유망기술 상시발굴 및 준비체제>는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유망기술을 선제적으로 수집·발굴해 투자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마련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미래기술 지식베이스에 수집된 590여개 미래유망기술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 어젠다, 한국과 미국의 연구개발(R&D) 투자현황 등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종합적으로 유망기술을 수집하고 풀(Pool)을 구축하는 1단계에 이어 R&D 프로그램 후보군을 도출하는 2단계, 마지막인 3단계에는 R&D 프로그램을 사전 기획해 상세기획과 실제 투자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만드는 작업을 추진한다. 미래부는 <미래유망기술 상시발굴 및 준비체제>를 통해 도출한 결과에 대해 관련기업, 연구소, 대학 등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여러 지적사항을 개선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5/09/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초순수, 반도체용 국산화 “헛방” | 2025-09-29 | ||
[에너지정책] LG화학, AI 반도체 공략 “본격화” | 2025-09-29 | ||
[반도체소재] JX금속, 한국서 반도체 소재 확대 | 2025-09-25 | ||
[석유화학] 켐트로닉스, 반도체용 PGMEA 개발 | 2025-09-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I, 고기능화로 반도체·배터리 공략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