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카자흐유전 개발 “좌초”
|
추미애 의원, 2000억원 적자 후 철수 … 국민연금에 무리한 투자 유도 화학뉴스 2015.09.09
한국석유공사가 카자흐스탄의 유전개발 사업에서 2000억원에 달하는 손해를 보고 철수를 결정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추미애 의원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2월27일 이사회에서 카자흐 잠빌(Zhambyl) 유전의 상업 개발이 어렵다고 판단해 사업 철수를 의결했다. 석유공사는 잠빌 유전에 16억6000만배럴의 원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2008년 투자를 결정해 2009년부터 6년 동안 시추선 건조 등에 약 3000억원을 투입했으나 시추 결과 추정치의 1/17에 불과한 9700만배럴의 원유만 발견돼 약 1900억원의 누적적자를 기록했다. 석유공사는 유전에서 원유 이외에 1410억ft3의 천연가스를 발견했으나 기존 계약상 권리가 없어 철수를 결정했으며 매입 주체는 아직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명박 정부가 에너지공기업과 국민연금에 대해 위험성이 높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무리하게 투자하도록 유도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노영민 의원이 공개한 2010년 10월26일 국무총리실 산업정책관실의 <연기금 해외자원개발 투자 확대 방안 보고 결과 및 조치계획> 문건에는 “에너지공기업은 위험성이 낮고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분류해 국민연금 투자를 제안하고 매각대금은 위험성이 높은 신규사업에 재투자할 것”이라고 기재돼 있다. 또 “에너지공기업과 국민연금이 시범투자사업 추진으로 기관평가 및 감사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에서 협조 조치”라고 명시돼 있다. 노영민 의원은 “문건이 고위험 자원개발 사업에 투자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불이익을 주지 말라고 지시한 것”이라며 “이명박 정부가 에너지공기업의 부실투자를 부추겼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고 주장했다.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석유공사, 시추 앞두고 사장 교체? | 2024-06-11 | ||
| [에너지정책] 석유공사, 이스라엘 보복에 촉각 | 2024-04-16 | ||
| [환경화학] SKI, 석유공사와 CCS 협력 | 2021-09-17 | ||
| [에너지정책] 한국석유공사, 김동섭 사장 취임 | 2021-06-08 | ||
| [에너지정책] 한국석유공사, 김동섭 사장 내정 | 2021-06-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