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한화, P-X 중국시장 장악했다!
2015년 수입량 월평균 100만톤 … 1-8월 한국산 점유율 43.8% 달해
화학뉴스 2015.10.22
중국은 2015년 P-X(Para-Xylene) 수입량이 1000만톤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4-5월 PTA 총 850만톤을 증설한 가운데 2014년 P-X 수입량이 997만톤으로 2013년에 비해 92만톤 증가했고 2014년 12월 수입량은 118만톤으로 사상 최대치를 갱신했다. 2015년에는 1월 96만톤을 시작으로 중국경제의 침체우려에도 2월을 제외하고 100만톤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P-X 수출도 호조를 지속하고 있다. 2015년 1-7월 수출 362만톤 가운데 중국 수출이 322만톤에 달했고 1-8월에는 중국 수입량 785만톤 가운데 한국산이 344만톤으로 43.8%를 차지했다. 2014년 한화토탈, SK종합화학, 인천SK석유화학 등이 P-X 생산을 확대하는 등 중국을 중심으로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 성장세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P-X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2012년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1200만톤을 증설함에 따라 원료 P-X 수요가 크게 늘어나 생산기업들의 신증설 계획이 잇달아 발표됐으나 2015년 4월 Dragon Aromatics P-X 160만톤 플랜트에서 화재가 발생한데 이어 인접 PTA 450만 플랜트까지 가동을 보류하자 수익성 악화로 조업을 중단한 몇몇 중소 플랜트가 생산을 재개하는 등 혼재양상을 나타냈다. 여기에 신증설 프로젝트가 주민반대 여론에 부딪치면서 추진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공급과잉이 악화되던 시장상황이 일변해 중국의 수입량이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2015년 신증설 프로젝트는 Zhongjin Petrochemical 160만톤이 유일하며 2015년 8월 가동을 시작했으나 원료 수급불안으로 수직계열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아시아 P-X 시세는 4월 화재사고를 계기로 톤당 1000달러까지 급등한 후 중국 주식시장 추락과 국제유가 변동의 영향으로 등락을 반복하다 700-800달러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전화윤 기자> <화학저널 2015/10/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X, 불확실성과 PTA 수익 악화에 | 2025-09-25 | ||
[석유화학] P-X, 방향성 부재 속 하락세 지속.. | 2025-09-11 | ||
[석유화학] P-X, 시장 정체되며 관망 기조로… | 2025-09-05 | ||
[석유화학] PTA, P-X‧겨울 수요에 올랐지만… | 2025-08-29 | ||
[석유화학] P-X, 스프레드 확대에 마진 개선!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