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튜브, 본격 상업화 “시동”
KAERI, 질화붕소나노튜브 상용기술 … 투자액 3억원 유치
화학뉴스 2015.12.23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이 차세대 나노소재 상용 기술을 개발하고 상업화를 추진한다.
KAERI는 원자력소재개발부 김재우 박사 연구팀이 차세대 나노소재로 주목받는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상용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월23일 발표했다. 질화붕소나노튜브는 육방정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나노튜브이며 기본 구조는 탄소나노튜브와 동일하다. 연구팀은 기술 상업화를 위해 <내일테크놀로지>를 설립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 공동기술지주회사인 한국과학기술지주로부터 3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질화붕소나노튜브는 전도성 또는 반도체 성질을 가진 탄소나노튜브와 달리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며 9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화학적 안정성과 열중성자 흡수력 등이 뛰어나 원자력·우주, 정보통신(IT), 바이오의학, 에너지 분야 등에서 활용성이 높은 신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팀은 딱딱한 물질을 분쇄하는 볼밀링(Ball Milling) 공정을 활용해 질화붕소나노튜브 전구체 분말을 만들고 1100도 이상의 고온에서 효율적으로 열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질화붕소나노튜브 상용 제조기술을 확보했다. 해당 기술을 상용화하면 현재 해외에서 1g당 1000달러에 달하는 질화붕소나노튜브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재우 박사는 “일부 선진국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캐나다 국립연구위원회(NRC)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상용화해 차세대 나노소재로 시장에 공급하고 있지만 한국은 생산 뿐만 아니라 응용연구도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며 “개발 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차세대 신소재 분야에서 국산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공략에도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K> <화학저널 2015/12/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LG화학, AI 반도체 공략 “본격화” | 2025-09-29 | ||
[에너지정책] 화학기업, AI 에이전트 도입 본격화 | 2025-09-25 | ||
[석유화학] NCC, 일본은 통합 본격화한다! | 2025-09-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 ||
[배터리] 전고체전지, 전해질 경쟁 본격화…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