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수출액은 중국의 수입량이 급감함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했다.
4월1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1/4분기 중국 수출액은 285억4404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5.7% 줄어들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009년 2/4분기 기록한 -20.3% 이후 7년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중국수출은 1월 -21.5%, 2월 -12.9%에 이어 3월 -12.3%로 감소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전체적인 수출 감소세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석유제품, 합성수지,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 자동차부품 등 주력 품목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1/4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9억4688만달러로 24.2%, 합성수지는 14억1332만달러로 14.5% 감소했다. 반도체는 55억9367만달러로 18.4%,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는 42억3231만달러로 -21.9% 줄어들었으며 자동차 부품 역시 12억7787만달러로 14.8% 감소했다.
수입액은 202억1406만달러로 2015년에 비해 9.6% 줄었으나 월별 수입액은 1월 -15.4%, 2월 -13.7%에 이어 3월에는 0.9%로 상승으로 전환됐다.
박진우 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 연구원은 “중국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간소재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며 “중국은 최근 반도체 분야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생산설비를 늘리면서 수입을 줄여가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전체 수출의 4분의 1 가량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서 여전히 활로를 찾지 못함에 따라 앞으로 수출부진 탈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미국수출은 168억705만달러로 3.3% 줄어들었으며 수입도 101억5909만달러로 4.9% 감소했다.
일본과의 무역도 부진했다. 수출액은 55억4389만달러로 13.1%, 수입액은 106억9687만달러로 11.2% 줄어들었다. 일본수출은 2014년 4/4분기 -13.9% 이후 6분기 연속 두자릿수 감소세를 기록하는 등 상황이 계속 악화하고 있다.
2016년 들어 3대 수출국으로 떠오른 베트남은 1/4분기 수출액이 70억7430만달러로 7.6% 급증하는 등 성장세를 지속했다.
하지만, 2015년 1/4분기 18.2%, 2/4분기 36.8%, 3/4분기 34.9%로 고공행진하던 수출 증가세가 4/4분기 9.8%를 기록하며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