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 기술과 탄소자원 분야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육성 전략을 강화한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4월21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바이오 산업생태계, 탄소 자원화 발전전략 보고회」 및 「제33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바이오 전문기업을 100개 이상 육성하고 2025년까지 국내기업들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5%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전략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자문회의는 바이오 분야 규제 선진화와 바이오 연구개발(R&D)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바이오산업 생태계 확충 방안」을 보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해 시급성과 난도가 높은 4개 규제개선 과제를 포함한 「바이오 규제 선진화 로드맵」을 수립할 것을 제안했다.
시급한 4개 과제로는 △세포치료 연구용 인체자원 활용 제한 완화 △유전자 치료 연구범위 제한 철폐 △의료기기의 신 의료기술 평가대상 축소 △디지털 헬스산업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바이오산업에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바이오 R&D 스타트업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바이오 특화 창업공간과 보육 지원 확대 △바이오 창업 맞춤형 R&D·인프라 지원 강화 △바이오 창업 초기기업 투자 지원 확대 △코스닥 제도 개선 및 글로벌 진출 촉진 등을 제안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온실가스의 주요 성분인 이산화탄소(CO2)·메탄(Methane) 등을 탄소자원으로 활용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탄소자원 활용기술의 개발 등을 담은 「신 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탄소자원화 발전 전략」을 보고했다.
탄소자원화 발전 전략을 통해 제철소 등 산업 공정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메탄올(Methanol)·경유 등으로 바꾸는 부생가스 전환 상용화 기술,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시멘트·용지 등을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광물화 기술, 이산화탄소로부터 기초화학연료·액체연료 등을 생산하는 차세대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등 전주기 기술을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탄소기술 실증 시범단지를 조성하고 탄소 자원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도 제안했다.
미래부는 탄소자원화 발전을 통해 2030년까지 연간 250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16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