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생산능력 확대로 공급과잉 심화 … 식물 베이스 전환 불가피
화학저널 2016.05.09
1,4-BDO(Butandiol)는 주로 스판덱스(Spandex) 제조용으로 투입되며 글로벌 수요가 연평균 약 10%대 증가하고 있다.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THF(Tetrahydrofuran), GBL(Gamma- Butyrolactone) 등 공업용 원료로도 투입되며 천연가스, 부탄(Butane), 부타디엔(Butadiene), 프로필렌(Propylene), 아세틸렌(Acetylene) 등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큰 스판덱스 시장인 중국이 생산능력을 급격히 확대함으로써 공급과잉으로 전환돼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BDO 역시 중국이 생산능력을 확대함에 따라 공급과잉이 나타나 거래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2014년 중반부터 시작된 국제유가 급락으로 프로필렌, 아세틸렌 가격이 급락하고 공급과잉이 겹쳤기 때문으로 BDO 가격도 50%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에서는 앞으로도 50만톤 이상의 신증설이 예정돼 있으나 생산기업 가운데 도태되는 곳이 나올 가능성이 낮아 생산능력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어려운 사업환경 가운데 메이저들은 유도제품을 포함한 BDO 체인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BASF는 BDO 체인을 핵심사업으로 삼고 PolyTHF 등 유도제품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생산능력을 2015년 말까지 약 65만톤으로 확대했고 한국,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는 PolyTHF를 생산하고 있고 말레이지아에 Toray와 합작으로 건설한 PBT 플랜트가 높은 가동률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공급과잉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위상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신규사업을 논의하고 있으며 원료, 수요 측면을 비롯한 경쟁력 있는 소재지를 찾고 있다.
Mitsubishi Chemical(MCH)은 일본 Yokkaich에서 부타디엔을 원료로 투입하는 BDO/THF 6만톤 병산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다.
생산능력이 9만톤이나 2011년 원료 부타디엔 가격 급등에 따라 코스트가 상승하고 중국의 공급능력이 확대되면서 수출도 어려워져 일부 설비의 가동중단을 결정했고 2013년 봄 6만톤 체제로 집약했다.
MCH는 내수 공급에 주력하고 있다. 스판덱스는 공장의 해외이전 등 사업 확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없으나 일정 수준의 수요는 확보하고 있다.
일본 수요처의 꾸준한 구매와 PTME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등 유도제품 투입으로 풀가동을 이어가고 있다.
타이완의 Dalian Chemical은 중국 Panjin, Yizheng에 BDO에서 PTMEG에 이르는 수직계열화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으며 중국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3-4년 동안 Yizheng 4만톤, Panjing 15만톤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했다.
최근에는 중국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가동률이 70-80%에 불과하나 알릴알코올(Allyl Alcohol)부터 BDO, THF, PTMEG, PBT/PBT컴파운드까지 일괄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점이 강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BDO는 중국이 생산능력을 확대하면서 공급과잉으로 전환돼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 신증설도 예정돼 있어 당분간 시장환경이 개선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메이저들은 THF, PTMEG 등 유도제품을 포함한 수직계열화로 사업기반을 확보할 방침이며 미래를 내다보고 원료 다양화에 주력해 식물 베이스를 포함한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 확립에 주력하고 있다.
최대 메이저인 BASF는 아시아, 유럽, 북미에 아세틸렌을 원료로 사용하는 레페(Reppe) 공법을 채용해 생산거점을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시장환경에 변화가 발생해도 대응할 수 있는 균형잡힌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 위해 원료 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BASF는 원료 다양화의 일환으로 재생가능 원료를 베이스로 상업화에 주력하고 있다.
프로세스는 미국 Genomatica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포도당을 원료로 사용하는 발효공법을 채용해 샘플 출하를 추진하고 있다.
2015년 9월24일에는 라이선스 계약을 확대해 동남아시아를 판매확대 지역으로 추가했다. 세계적인 수준의 설비를 건설해 생산능력을 약 7만5000톤 확대할 계획이다.
MCH는 BDO와 THF를 병산할 수 있는 독자적인 부타디엔 공법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의 석유화학 원료 가운데 일정량을 식물 베이스로 대체하는 목표를 세우고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원유, 나프타(Naphtha), 부타디엔 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은 수익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재생가능 원료 사용을 모색하고 있다.
BDO 사업에서도 Genomatica의 고도 박테리아 기술과 MCH의 정제기술을 융합해 식물 베이스 생산을 결정했다. 이미 샘플출하를 실시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코스트 달성을 과제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비식용 셀룰로오스 원료로 전환하는 작업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상업생산을 위해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THF는 옥수수 대 등 식물성 바이오매스로 생산하는 랩 스케일 생산설비를 설치해 실증시험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Dalian Chemical은 재생가능 원료 베이스 BDO가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원료 다양화를 위한 움직임을 시작하고 있다.
재생가능 원료 베이스 생산이 안정화돼 품질, 코스트경쟁력을 갖춘 차별제품이 출시되면 석유 베이스로는 대항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BASF, MCH는 장기적으로 자원, 원료 가격 변동에 좌우되지 않는 사업체제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산능력 과잉 문제는 당분간 지속되지만 밸류체인과 원료 다양화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BDO 사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핵심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표, 그래프 : <아시아의 1,4-BDO 생산능력>
<화학저널 2016년 5월 9/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