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중국의 전기자동차(EV) 배터리 규제 강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6년 1월 국내기업이 주력 생산하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 대한 보조급 지급을 중단한데 이어 4월에는 생산, 개발, 품질, 설비 면에서 중국 당국이 지정한 기준을 갖춘 생산기업에게만 EV 배터리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현재까지 EV 보조금 지급 대상으로 등록된 2차전지 생산기업 25사는 모두 중국기업으로 LG화학과 삼성SDI는 2016년 2월과 4월 등록을 신청했으나 서류 미비로 한차례 반려돼 재심을 받고 있으며, SK이노베이션은 중국공장이 없어 등록신청 자격조차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기업들은 중국의 규제 압박에 대해 원통형 배터리로 선회하거나 기술력을 강화함으로써 맞불작전을 펼치고 있다.
LG화학은 10월부터 중국 Nanjing 공장의 원통형 배터리 신규 생산설비 2기를 상업가동할 계획 아래 최근 양산을 위한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EV 배터리는 수요 증가 속도가 빠르고 수익성도 뛰어나지만 규제 강화 등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어 소형전지에 집중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모바일‧IT용 배터리 수요는 5만6313Mwh로 전년대비 약 20% 신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5년 중국 모바일‧IT용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산은 42.2%를 차지했다. 삼성SDI의 점유율이 25.2%, LG화학은 17.0%였으며 중국산과 일본산은 각각 26.5%, 25.3%에 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SDI는 EV 배터리의 기술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삼성SDI는 2015년 10월 준공한 Xian 공장에서 한단계 발전된 삼원계 방식의 EV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다.
중국 배터리기업들의 리튬인산철(LFP) 방식 배터리 기술 발전이 정체돼 있어 대형 배터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틈새 수요를 노리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삼성SDI 관계자는 “대형 배터리는 안전성과 집적도가 중요해 소형배터리처럼 기술력을 단기간에 끌어올리기 힘들다”며 “규제가 발효돼도 중국기업들이 대응하지 못하는 수요를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전기 버스·상용차 시장은 2014년 2059MWh에 불과했지만 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1만8500M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기버스에는 소형 EV에 비해 약 10배 많은 배터리가 투입되며 정부 정책만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