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유화학산업은 기능성 화학소재 부문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석유화학이 정부가 분류한 5대 구조조정 산업에 포함되면서 앞으로 기능성·고부가가치 화학소재로 주력사업을 재편해야 하며 전자·자동차 등 국내 수요산업에 대응하고 중소·중견기업을 주축으로 기능성 소재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최근 발간한 「기능성 화학소재산업 현황과 전망」에 따르면, 세계 기능성 화학소재 시장은 북미, 유럽, 일본이 전체 시장의 54%(2013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건축·세제·식품·음료 등 B2C(소비자 대상 거래) 분야는 유럽·미국기업이, 전자소재·고기능필름·토너원료 등 B2B(기업간 거래)는 일본기업이 압도적 점유율을 차지했다.
하지만, 국내기업의 점유율은 통계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평중 한국석유화학협회 본부장은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기업이 세계 기능성 화학소재 시장을 사실상 석권하고 있다”며 “한국은 세계 기능성 화학소재 시장에서 거의 존재감이 없다”고 강조했다.
기능성 화학소재는 높은 부가가치로 글로벌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전자 분야에 이어 자동차용 전자 및 분리막 소재 등으로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미국·유럽 화학기업은 범용 석유화학 사업을 매각하고 기능성 화학으로 주력사업을 전환하는 등 글로벌 메이저들은 대형 인수합병(M&A)과 사업재편으로 기능성 화학소재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BASF는 2000년대 이후 의약품 및 스타이렌(Styrene) 사업을 매각하고 첨가제·화장품·촉매 사업을 강화했으며 최근에는 과감한 M&A와 바이오 사업 확대로 영업이익 극대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일본 화학기업은 전자소재 분야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헬스케어·에너지 등 고성장 분야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은 LG화학과 삼성SDI가 LiB(Lithium-ion Battery) 시장을 리드하고 있으나 세퍼레이터 및 전극 소재는 대부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반도체 메이저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차세대 자동차에 필수불가결한 자동차용 반도체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자동차기업들은 수출이 호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요 부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에 따라 전자·자동차 등 국내기업들이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수요산업 중심의 기능성 화학소재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파악되고 있다.
김평중 본부장은 “전자와 자동차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소재를 수입하는 것은 말이 안되는 일”이라며 “수요산업 위주로 기능성 화학소재 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