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EV) 수출규모를 적극적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7월7일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한 「신규 유망수출품목 창출 방안」을 통해 EV 수출규모를 20만대로, 수소자동차 수출규모는 1만4000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2000억원 상당의 펀드를 조성해 시스템반도체 수출을 지원하고 화장품, 의료기기, 농식품 분야를 프리미엄 소비재로 집중 육성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설 방안이라고 발표했다.
수출 침체가 장기화하고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본격적으로 미래 수출 먹거리 발굴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해당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주력 수출제품의 프리미엄화 추진 ▲서비스산업 육성과 해외진출 지원 ▲에너지신산업 등 유망 신산업 수출 확대라는 3대 수출전략을 마련했으며 우선 EV를 새로운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5년 1만2000대를 기록한 EV 수출규모를 2020년에는 20만대 수준으로 늘려 세계 시장점유율을 10% 이상 올릴 방침이다.
국내 신규 자동차의 5%에 해당하는 8만여대를 EV로 보급하고 4년 후 국내 보급대수를 25만대까지 늘릴 계획으로 주행거리, 충전기, 인센티브 등 EV 보급을 가로막는 걸림돌을 차례로 제거하며 국내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기술 분야에서는 1회 충전 주행거리를 현재 2배 이상인 400km로 늘리기 위한 「고밀도 전지개발 프로젝트」를 하반기에 출범시킬 계획이며 2016년 말까지 서울과 제주에 2km당 1기씩 공공 급속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전국 4000개 아파트 단지에 3만기의 완속 충전기도 설치한다.
이밖에도 취득세, 통행료, 주차요금, 보험료 등 각종 요금을 감면해 소비자의 부담도 덜어줄 계획이다.
특히, EV 구매 보조금은 1200만원에서 1400만원으로 늘려 즉시 지원하기로 했다.
수소자동차는 버스 혹은 택시처럼 운행거리가 긴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보급을 늘릴 계획이다. 2020년까지 국내 보급대수는 1만대로, 수출규모는 1만4000대로 확대할 방침이다.
수소충전소를 10기에서 2020년에는 100기로 확대하고 개별소비세·취득세 감면, 보조금 상향 등 구매 지원책도 다양하게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보급을 늘리고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육성하는 등 2020년까지 에너지신산업에 42조원의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우수한 친환경제품에 무역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국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교통시스템 등이 반영된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축해 수출할 계획이다.
화장품, 의약품·의료기기, 농식품, 수산물 등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등 프리미엄 소비재 육성에도 주력한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