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유․화학기업들이 동북아오일허브 사업을 외면하고 있다.
동북아오일허브 사업은 주주와 참여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석유사업법 개정을 시도하고 있으나 국회 통과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가 주주 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는 2014년 1월 동북아오일허브 울산북항사업 합작법인인 코리아오일터미널을 설립했으며 지분을 한국석유공사 51%, Vopak 38%, S-Oil 11%로 구성할 계획이었으나 2015년 3월 Vopak이 수익성 문제로 참여 의사를 철회해 추가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한화토탈, 중국 Sinomart, 울산항만공사, 포스코대우가 주주 참여 기본합의서를 체결했으나 정식으로 참여를 확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S-Oil은 수억원의 초기 자본급만 납입했으며 2014년 2월21일 한국석유공사에게 울산 석유비축기지를 매입해 PO(Propylene Oxide) 및 PP(Polypropylene) 플랜트 건설을 추진함에 따라 동북아오일허브 사업의 수익성 의문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철회가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정부는 울산에 위치한 SK이노베이션과 S-Oil에게 추가 투자를 권유하고 있으나 SK이노베이션과 S-Oil은 수익성 문제로 외면하고 있다.
한화토탈도 투자를 검토했으나 한화그룹에게 인수되기 전 삼성토탈이 검토했던 투자계획으로 인수 후 동북아오일허브 사업 투자계획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북아오일허브 사업은 주주 모집에 실패함에 따라 2017년까지 990만배럴 상당의 상업용 저장터미널을 건설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허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