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허수영)은 비자금 조성 의혹 등으로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고 있다.
롯데그룹 계열사는 비자금 조성 의혹 등에 대한 검찰의 전방위 수사에 부담을 느낀 기관투자가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어 회사채 발행과 자산 유동화 등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 조달이 사실상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케미칼이 7월12일 약 4년만에 3000억원의 기업어음(CP)을 발행한 것도 회사채 발행이 여의치 않아 증권신고서 제출 등의 의무가 없는 CP로 전환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CP는 증권신고서 제출 등의 의무가 없어 발행이 간편하지만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 조달 수단이어서 회사채 발행이 어렵거나 급전이 필요할 때 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롯데케미칼은 높은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2013년 이후 연평균 4500억원의 회사채를 발행해왔으며 4월에는 국내기업 회사채 발행 사상 2번째로 많은 금액인 7600억원을 발행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검찰의 비자금 수사 여파로 당분간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증권 관계자는 “그룹 총수가 구속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지면 신용등급까지 강등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수적인 기관투자가들로서는 채권을 사는데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롯데물산 역시 6월 말에서 7월 초 1000억원 상당의 회사채를 발행하려다가 준비작업을 중단했다.
일부에서는 7월 호텔롯데가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임차보증금 5360억원을 담보로 한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계획도 전면 중단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