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가 미국 표춘(Fortune)이 선정하는 글로벌 500대기업에서 277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한화는 2015년 329위에서 2016년 277위로 52계단 올라섰으며 글로벌 500대기업에 포함된 국내기업 가운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글로벌 500대기업은 포춘이 1990년부터 글로벌기업의 매출액 기준으로 순위를 책정하는 글로벌 브랜드 지표이다.
한화는 매출이 2015년 37조5000억원에서 2016년 41조4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5년 M&A(인수합병)를 통해 삼성에서 편입된 한화토탈, 한화종합화학, 한화테크윈, 한화탈레스 4사의 영업실적 호조가 전체 매출 확대를 견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화토탈은 저유가 상황 속에서 에틸렌(Ethylene) 스프레드가 확대되며 높은 마진을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면서 안정적인 수익 성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한화종합화학은 주력 사업인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의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심각한 경영난에 시달려왔으나 2016년 1/4분기부터 100주 동안 기술을 혁신하고 집중적인 원가절감을 시행하는 「서바이벌 100」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등 영업실적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테크윈은 방산과 엔진부품을 중심으로 한 사업구조 재편, 장기 공급계약 확대로 안정적 영업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한화탈레스도 레이더, 전자광학장비, 전술통신시스템, 전투지휘체계, 사격통제장비 등의 분야에서 선방하고 있다.
한화는 인수 완료 후 초기단계부터 PMI(합병 후 조직통합 과정)를 적극화하며 계열사 사이의 생산·판매 시너지 제고 및 효율성 극대화를 꾀하고 있다.
태양광발전 사업도 글로벌기업 순위 상승에 일조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화큐셀은 2015년 4월 미국 NextEra와 1.5GW 수준의 모듈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단일계약으로는 최대급 수주라는 쾌거를 거두었다.
한화큐셀은 글로벌 침체기에도 투자를 지속하며 2015년 2/4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이후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