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의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의 대대적인 수사가 2개월째 이어지고 있어 장기화가 우려된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세무조사 무마 로비와 정부 상대 소송사기에 관여한 혐의로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을 8월11일 소환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수영 사장은 롯데케미칼이 정부를 상대로 벌인 소송 사기와 세무당국에 금품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 일본 롯데물산에 부당한 수수료를 지급했다는 의혹 등을 놓고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의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롯데케미칼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허위 회계자료를 근거로 세금환급 소송을 제기해 법인세 220억원을 비롯해 270억여원의 세금을 부당하게 돌려받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와 관련해 KP케미칼 대표이사를 맡았던 기준 전 롯데물산 사장이 7월23일 구속된 바 있다.
검찰은 기준 전 사장에 이어 롯데케미칼 경영을 맡은 허수영 사장이 그룹 차원의 조직적 소송 사기를 지시 혹은 묵인했는지 여부를 추궁할 방침이다.
허수영 사장은 롯데케미칼의 세무조사 무마 로비 의혹에도 연루돼 있다.
롯데케미칼은 허수영 사장의 재임기간에 세무법인 T사 대표 김모씨에게 세무조사를 무마해달라는 명목으로 수천만원을 건넨 것으로 알려졌으며, 검찰은 허수영 사장을 상대로 김모씨에게 건넨 돈이 세무당국 관계자에게 전달할 목적이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석유화학제품 원료를 해외에서 거래하는 과정에서 롯데물산을 끼워넣고 200억원 이상의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이다.
검찰은 롯데면세점 입점을 빌미로 금품을 받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의 비리를 적발한데 이어 롯데케미칼의 세무조사 무마 로비 및 정부 상대 소송사기 등을 철저하게 조사함으로써 롯데그룹 수사 마무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가장 핵심적인 신동빈 회장을 비롯한 오너일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수사가 장기화되고 있으며 각 계열사의 사업도 제자리걸음을 나타내고 있다.
롯데그룹은 검찰의 압수수색과 임직원 대상 조사가 수시로 받고 있으며 신동빈 회장 역시 혐의를 감추거나 입을 맞춘다는 의혹을 피하기 위해 하반기 사장단 회의를 개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롯데그룹 계열사 사장들을 통해 현안 보고를 받고 경영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