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P-X(Para-Xylene) 시장은 중국의 수입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세계 석유화학제품 수급동향>에 따르며, 세계 P-X 수요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5.8% 증가해 2019년 477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최대의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생산대국인 중국 수요가 6년간 1100만톤 늘어나기 때문이다. 중국은 P-X 생산능력 확대에도 불구하고 수입량이 1000만톤 수준으로 압도적인 수입 포지션을 유지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중국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에스터(Polyester)의 원료로 사용되는 PTA의 국산화를 저극 추진함으로써 P-X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P-X 생산능력은 2013년에도 1000만톤 수준에 불과했고 가동률도 70%에 머물러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P-X 수입량은 2011년 498만톤, 2012년 629만톤, 2013년 905만톤, 2014년 997만톤으로 증가했고 2015년에도 1-4월 389만톤에 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글로벌 P-X 수요는 2013년 3400만톤에서 2019년 4770만톤으로 1400만톤 증가하고, 특히 아시아가 4020만톤으로 절대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연평균 9.1% 증가해 2720만톤, 인디아는 절대량은 크지 않으나 연평균 13.1% 증가해 480만톤에 달하고 미국 및 유럽은 미미하게 감소하며 중동은 10%대 신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글로벌 P-X 생산능력은 4210만톤에서 5900톤으로 확대된다.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6년간 430만톤 증가해 1000만톤을 웃돌고 중국은 1190만톤으로 약간 증가하는데 그치며 인디아는 550만톤으로 310만톤 증가해 아시아 전체적으로 40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유럽은 약간 감소하고 미주는 약간 증가하며 중동은 950만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글로벌 P-X 생산량은 2013년 3430만톤에서 2019년 517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은 가동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대폭적인 수입초과 현상이 지속돼 2019년에도 수입량이 1500만톤을 상회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