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크터미널은 수급밸런스가 타이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일본은 경기 호조 및 수출입 증가 등에 따라 전국 주요 항만이 풀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화학제품은 운송의 다품종‧소형로트화 등과 같은 물류 니즈가 다양화됨에 따라 ISO 탱크 컨테이너 수요가 신장해 컨테이너에서 탱크로리 및 IBC(중형용기), 드럼캔 등에 멀티패턴으로 선적할 수 있는 MWS(Multi Work Station) 수요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탱크터미널 운영기업은 유조선 및 ISO 탱크 컨테이너 등의 해상 운송을 통해 원유, 윤활유, 액체화학제품 등을 공급받아 탱크보관, 로리 및 컨테이너 등을 활용한 육상 및 해상출하, 수출 뿐만 아니라 본선 하역 및 드럼 충진 등의 부대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수급이 타이트 기조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노후화한 스틸제 탱크의 재건 및 법개정에 따른 설비 갱신 영향으로 효율적인 SUS(스테인리스 스틸)제 탱크의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항만 지역 대부분은 용지 개발이 완료되고 있어 소방법에 따른 보유 공터 및 신규 야드 건설용지를 새롭게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대규모 야드의 확충 및 탱크 증설이 이루어지지 않아 탱크터미널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있다.
화학제품 운송의 다품종‧소형로트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조선이 대형화됨에 따라 착안할 수 있는 부두가 한정적이 때문에 ISO 탱크컨테이너 수요가 확대함과 동시에 MWS를 활용해 니즈의 다양화에 대응하는 곳도 늘어나고 있다.
분석실 및 위험물질 창고 등을 병설하는 야드도 나타나고 있다. 또 보관품질 향상을 위한 부대설비는 질소 퍼지(Purge) 및 온도관리 등이 일반화하고 있으며 외국계 하주의 요청에 따라 액면감시장치 등의 도입도 이루어지고 있다.
탱크터미널은 화학산업을 비롯한 하주 업계의 시장구조 변화에 따라 물류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와 하드 양면의 기반강화를 꾸준히 추진하는 한편 수급타이트 완화 및 인재육성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로 파악되고 있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