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은 바이오 경제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관리 기술, 유전자 편집을 활용한 질병 치료, 모바일 인공지능 진단 기술 등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선정한 2017년 「바이오헬스 이슈를 선도하는 10대 미래 유망기술」에 선정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바이오 분야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해 12월27일 발표했다.
생명공학연구원은 최근 바이오 관련 뉴스를 수집·정리하고 데이터마이닝 방법을 적용해 126개의 주요 이슈어를 선별한 뒤 정성적 분석을 통해 10대 과학기술 이슈를 도출했다.
10대 과학기술 이슈 가운데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로 해결 가능한 이슈 관련 논문을 검색한 후 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분야별 전문가 인터뷰 등의 과정을 거쳐 미래유망 후보기술 30개를 선정했으며 기술성, 경제성, 이슈 대응성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바이오헬스 이슈를 선도하는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최종 선정했다.
최종 선정한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관리기술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기술 ▲역학정보 분석기술 ▲모바일 인공지능 진단기술 ▲웨어러블(Wearable) 건강관리기술 ▲유전자 편집을 통한 질병치료기술 ▲순환 종양세포 DNA 탐지기술 ▲연속식 혈당측정기술 ▲생체 내 직접교차분화기술 ▲후성유전학적 발생·분화 조절기술 등이다.
역학정보 분석기술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해 감염병 발생과 바이러스 확산을 예측하는 기술로 최근 큰 피해가 발생한 조류독감 등 감염병 확산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관리기술은 개인 유전체 정보를 기존 임상 치료에 통합해 질병을 예방하고 환자를 치료하는 정밀의료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순환 종양세포 DNA 탐지기술은 암 환자의 말초 혈액 안에서 순환하는 암세포와 순환 DNA를 탐지하는 기술이며, 생체 내 직접교차분화기술은 생체 안에서 재생이 필요한 세포를 직접 만드는 기술, 후성유전학적 발생·분화 조절 기술은 발생 및 분화 과정을 정교하게 조절해 원하는 세포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바이오헬스 미래유망기술은 조만간 우리가 직면하는 바이오 경제 시대와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기 위해 확보해야 할 연구개발 주제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