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시밀러(Biosimiliar) 및 바이오베터(Biobetter)에 대한 추가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임상세제 지원에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베터를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세법개정안 발표를 통해 신약 개발에 대한 세액공제 범위에 국내 임상3상을 포함했으나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베터는 제외시킨 바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제약 및 바이오의약 생산기업들이 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등에 대한 세제 지원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베터 등 복제약에 정부 지원이 집중되면 기존 신약 개발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복제약은 상업화 성공률이 높은 반면 규모화를 통해 중국, 인디아 등 개발국들이 후발 진입하면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이 상업화에 앞장서고 있으나 중국 및 인디아기업들이 후발진입을 위해 관련기업 M&A(인수합병)을 확대하고 있고 앞으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또 삼성그룹이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을 중심으로 바이오의약 산업에 진출함에 따라 정부가 특혜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는 설비투자 사업으로 대규모 자금유입이 가능한 삼성, LG 등 대기업 위주로 상업화가 추진되고 있다”며 “대기업에게 세제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허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