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F가 자동차 내부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새로운 부품 소재를 선보였다.
BASF의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브랜드 「루프라놀(Lupranol)」은 복원력이 뛰어난 연질 및 반경질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과 같은 자동차 부품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소재로, 새롭게 출시된 저VOCs 등급 루프라놀은 알데하이드(Aldehyde)를 포함한 VOCs의 배출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입증됐으며 자동차 시트, 헤드라이너, 핸들 등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용 폴리우레탄 솔루션을 생산할 때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앤디 포스틀스웨이트(Andy Postlethwaite) BASF 기능소재 사업부문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VOCs는 제조공정의 변화를 통해 대폭 감축할 수 있다”며 “루프라놀 신제품은 중국‧한국 등 아시아 자동차 OEM(주문자상표부착) 생산기업들이 자동차 내부 공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층 강화된 VOCs 배출 규제기준을 충족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VOCs 등급 루프라놀은 기존 루프라놀의 제조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새차 냄새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아세트알데하이드(Aacetaldehyde) 등 알데하이드 배출 수준을 낮추는데 성공했다.
국내 주요 시험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시행한 배출 테스트에 따르면, 저VOCs 등급 루프라놀은 아세트알데하이드에 대한 알데하이드 배출을 50% 이상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루프라놀은 탁월한 물리적 속성을 갖추고 있고 냄새가 덜 나고 복원력이 높은 폴리우레탄폼을 생산할 수 있어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루프라놀을 사용한 연질 폴리우레탄 폼 「엘라스토플렉스(Elastoflex)」는 기존의 폼과 비교해 더욱 안락할 뿐만 아니라 탄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