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이 중국의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에 대응해 수출시장을 다변화하며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석유화학산업은 수출의 절반 이상이 중국에 집중돼 있어 균형 잡힌 수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LG화학은 1990년대부터 인디아, 베트남, 폴란드 등에 생산법인을 구축하고 현지시장을 공략해왔다.
1996년 Hindustan Polymer를 인수하며 인디아 시장에 진출한 뒤 현재는 동부 항구도시 Vishakhapatnam 공장에서 PS(Polystyrene) 9만톤, EP(Engineerig Plastic) 3만5000톤 설비를 가동해 현지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또 베트남 Ho Chi Minh 공장에서 가소제 4만톤을 양산해 동남아시아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폴란드의 Wroctaw 공장에서는 EP 컴파운드 2만3000톤 설비를 가동하고 있다.
LG화학은 고부가가치제품을 중심으로 북미와 서유럽 시장 진출도 검토하고 있으며 시장 다변화를 통해 현재 60%에 육박하는 중국 수출비중을 낮출 방침이다.
롯데케미칼은 에틸렌(Ethylene) 확보를 위해 2010년 말레이지아 Titan을 인수했으며 2014년에는 미국 Axiall과 합작해 루이지애나에 ECC(Ethan Cracking Center)를 건설하고 있다.
또 우즈베키스탄 국영 석유기업과 50대50으로 합작해 2016년 수르길 지역에 가스화학단지를 건설하며 국내기업 최초로 중앙아시아에 진출했다.
한화케미칼은 2008년 이후 타이 현지법인을 통해 ASR(Alkali Soluble Resin) 설비를 가동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는 사우디 Jubayl 공장에서 EVA(Ethylvinyl Acetate), 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등을 생산하고 있다.
SK종합화학은 2015년 Sabic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미국, 사우디 등에 고기능 PE(Polyethylene)인 넥슬렌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2월 SK이노베이션이 3억7000만달러(약 4200억원)를 투입해 Dow Chemical로부터 고부가 화학제품인 EAA(Ethylene Acrylic Acid) 사업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국내기업들의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에 따라 2월 석유화학제품 수출 증가율은 인도네시아 61.5%, 이란 51.3%, 인디아 44.2%로 가파른 신장세를 나타내며 16.3%에 그친 중국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 관계자는 “최근 수출시장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중국시장의 비중이 절반을 웃돌아 문제가 생기면 국내기업들이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내기업들이 현지 생산법인 및 합작법인 설립, 해외공장 증설, 해외법인 M&A(인수합병) 등 다양한 전략으로 시장 다각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