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e Kosan이 PI(Polyimid) 다공질막을 라이프 사이언스 분야에 전개한다.
PI 다공질막은 플렉시블(Flexible)한 박막 형상으로 막 내부에 무수한 기공이 있는 입체구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특성을 활용해 세포 배양 기술을 개발한다.
세포가 증식하기 쉬운 환경을 형성하고 장기 배양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해 세포 분리‧제거 활용하고 뼈 손상 부위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장기적인 라이프사이언스 사업의 중심으로서 외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화를 목표로 한다.
Ube Kosan의 PI 다공질막은 내부에 대구경 연통 기공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량의 세포가 서식해도 3차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샬레를 사용한 평면배양은 배양기간에 한계가 있었으나 해당제품을 활용한 실험에서는 1년 이상 배양을 지속하고 있는 세포가 있어 안정적으로 간단하게 장기간 배양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PI 다공질막은 박막, 플렉시블, 형상 안정 등 특성 이외에 내열성‧내용제성이 뛰어나고 초내열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감균 등의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세포를 동결 보존하는 때에는 기존의 세포박리 작업 및 콜라겐 코팅 등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Tsukuba대학과의 공동 연구에서는 PI 다공질막에 세포를 포함한 액체 시료 및 혈액 시료를 통과시키면 사이즈 및 특성에 따라 세포를 선별할 수 있는 기능을 발견했다.
염증을 일으키는 세포는 거의 통과하지 않아 다공질막을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세포의 염증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는 등 응용이 가능하다.
류마티즘 질환 및 크론병 등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접착성이 높은 림파구 및 세포를 제거하는 의료 수단이 있으나 여과 담체에 섬유 및 비즈 등이 사용돼 백혈구 세포를 모두 제거해버리기 때문에 세포를 선별해 제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어 세포의 특성을 이용한 간편하고 신속한 신규 방법에 대한 응용이 기대된다.
PI 다공질막의 입체구조는 골수 구조와 유사하기 때문에 골수 기반 세포를 번종해 배양하면 다공질막 입체구조에 따라 골수와 유사한 분화 특성을 지닌 세포 집단이 생성된다.
뼈 손상 부위의 구조적 보완 및 조혈을 포함한 뼈 기능의 회복도 기대되며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뼈 치료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밖에 Ube Kosan은 세포 배양 리액터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사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외부 연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L)